송파, 서초 등 급전세 소진되며 가격 강세
강북은 전셋값 하락폭 커 비중 하락 ‘대조’
강북은 전셋값 하락폭 커 비중 하락 ‘대조’
최근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전세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매매값 대비 전셋값 비중이 지난해 연말보다 상승했다.
반면, 강북권은 전셋값이 매매값보다 더 많이 떨어지면서 작년 말보다 전셋값 비중이 하락해 대조를 이뤘다.
1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3월 현재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값 대비 전셋값 비중은 35.15%로 지난해 말 34.98%에 비해 0.17%포인트 높아졌다.
매매값 대비 전셋값 비중이 오른 것은 올해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값보다 전셋값 상승폭이 컸기 때문이다. 3월 현재 서울 아파트 매매값은 지난해 말 대비 0.14% 올랐지만 전셋값은 0.49% 상승했다.
특히 강남권 아파트의 전셋값 비중이 지난해 말보다 눈에 띄게 높아졌다.
송파구의 매매값 대비 전셋값 비중은 30.52%로 지난해 말 28.45%에 비해 2.07%포인트 상승했다. 송파구는 지난해 말 대비 매매값이 3.16% 오른 데 비해 전셋값은 3배가 넘는 10.66%나 뛰었다.
지난해 잠실 주공과 시영 등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의 입주로 송파구 일대 전셋값이 크게 하락했으나 올들어 급전세가 빠르게 소진되면서 시세 상승을 주도했다. 실제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108㎡는 지난해 말 전세 시세가 2억3천500만원이었으나 현재 3억3천500만원으로 1억원이 뛰었고 잠실 리센츠 109㎡는 지난해 말 2억6천만원에서 현재 3억5천만원으로 9천만원 상승했다. 또 서초구의 전셋값 비중은 지난해 말 31.57%에서 현재 31.98%로 0.41%포인트, 강동구는 지난해 말 30.36%에서 현재 30.85%로 0.49%포인트 각각 올랐다. 서초구와 강동구 역시 반포 자이와 암사동 롯데캐슬 등 대규모 입주 아파트 전세 물량이 소화되면서 전셋값이 강세로 돌아섰다. 이에 비해 강남구는 지난해 말 29.6%에서 현재 29.3%로 0.3%포인트 하락했다. 새 아파트 입주가 많지 않은 강남구는 작년말 대비 매매값이 0.73% 올랐지만 전셋값은 0.64% 떨어졌다. 강북권은 대체로 전세비중이 지난해 말보다 하락했다. 올들어 매매값이 내렸지만 전셋값은 이보다 더 많이 떨어진 때문이다. 은평뉴타운의 입주가 시작된 은평구는 현재 전셋값 비중이 45.1%로 지난해 말(46.19%)보다 1.09%포인트 하락했다. 은평구는 올해 매매값은 0.64% 하락한 반면 전셋값은 매매 낙폭의 4.8배 수준인 3.08%가 떨어졌다. 서대문구는 전셋값 비중이 지난해 말 45.79%에서 3월 현재 45.32%로 0.47%포인트 하락했다. 서대문구도 올해 전셋값이 1.36% 떨어지며 매매값(-0.34%) 하락폭의 4배에 달했다. 종로구(43.08%), 중랑구(43.07%), 동대문구(42.69%), 노원구(39.77%) 등도 지난해 말보다 전셋값 비중이 0.01-0.39%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에서는 과천시의 전셋값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지난해 말 24.28%에서 3월 현재 27.63%로 3.3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작년 말 대비 과천지역 매매값이 2.1% 오르는 동안 전셋값은 16.19%나 상승한 때문이다. 분당신도시는 올들어 매매값이 0.19%, 전셋값이 1.54% 각각 하락하면서 전셋값 비중은 지난해 말 34.54%에서 현재 34.07%로 0.47%포인트 떨어졌다. 서미숙 기자 sms@yna.co.kr (서울=연합뉴스)
지난해 잠실 주공과 시영 등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의 입주로 송파구 일대 전셋값이 크게 하락했으나 올들어 급전세가 빠르게 소진되면서 시세 상승을 주도했다. 실제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108㎡는 지난해 말 전세 시세가 2억3천500만원이었으나 현재 3억3천500만원으로 1억원이 뛰었고 잠실 리센츠 109㎡는 지난해 말 2억6천만원에서 현재 3억5천만원으로 9천만원 상승했다. 또 서초구의 전셋값 비중은 지난해 말 31.57%에서 현재 31.98%로 0.41%포인트, 강동구는 지난해 말 30.36%에서 현재 30.85%로 0.49%포인트 각각 올랐다. 서초구와 강동구 역시 반포 자이와 암사동 롯데캐슬 등 대규모 입주 아파트 전세 물량이 소화되면서 전셋값이 강세로 돌아섰다. 이에 비해 강남구는 지난해 말 29.6%에서 현재 29.3%로 0.3%포인트 하락했다. 새 아파트 입주가 많지 않은 강남구는 작년말 대비 매매값이 0.73% 올랐지만 전셋값은 0.64% 떨어졌다. 강북권은 대체로 전세비중이 지난해 말보다 하락했다. 올들어 매매값이 내렸지만 전셋값은 이보다 더 많이 떨어진 때문이다. 은평뉴타운의 입주가 시작된 은평구는 현재 전셋값 비중이 45.1%로 지난해 말(46.19%)보다 1.09%포인트 하락했다. 은평구는 올해 매매값은 0.64% 하락한 반면 전셋값은 매매 낙폭의 4.8배 수준인 3.08%가 떨어졌다. 서대문구는 전셋값 비중이 지난해 말 45.79%에서 3월 현재 45.32%로 0.47%포인트 하락했다. 서대문구도 올해 전셋값이 1.36% 떨어지며 매매값(-0.34%) 하락폭의 4배에 달했다. 종로구(43.08%), 중랑구(43.07%), 동대문구(42.69%), 노원구(39.77%) 등도 지난해 말보다 전셋값 비중이 0.01-0.39%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에서는 과천시의 전셋값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지난해 말 24.28%에서 3월 현재 27.63%로 3.3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작년 말 대비 과천지역 매매값이 2.1% 오르는 동안 전셋값은 16.19%나 상승한 때문이다. 분당신도시는 올들어 매매값이 0.19%, 전셋값이 1.54% 각각 하락하면서 전셋값 비중은 지난해 말 34.54%에서 현재 34.07%로 0.47%포인트 떨어졌다. 서미숙 기자 sms@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