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 주공 등 지난주 1천만~3천만원 하락
대출 규제, 소형의무비율 강화 등 여파
대출 규제, 소형의무비율 강화 등 여파
서울 강남권 주요 재건축 아파트값이 약세로 돌아섰다.
최근 가격이 단기 급등한데 대한 부담감과 정부가 투기지역 확대 등 부동산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매수세가 위축된 때문이다.
특히 서울시가 재건축시 전체 가구수의 20%를 전용 60㎡ 이하로 짓는 소형의무비율을 확정하면서 지난 주 호가가 1천만~3천만원씩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실거래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는 지난주 매매 호가가 2천만~3천만원 하락했다.
이달 초부터 거래가 주춤한 가운데 지난 23일 서울시의 소형의무비율 조례안이 공포된 후 호가가 떨어졌다.
이 아파트 35㎡는 소형의무비율을 적용하면 전용 60㎡ 이하의 소형에 입주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매매호가가 6억9천만~7억원선에서 지난주 말 6억8천만원으로 하락했다.
또 50㎡는 지난주 10억원에서 9억8천만원으로 2천만원 떨어졌지만 매수자가 나서지 않고 있다. 남도공인 이창훈 대표는 "개포 주공1단지는 8월중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가 해제되면 매물이 더 늘어나 가격 약세가 지속될 수도 있다"며 "당분간 시장 분위기는 매도자 우위에서 매수자 우위로 바뀔 것 같다"고 말했다. 중층 재건축 단지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도 지난주 매매값이 이달 초에 비해 2천만~4천만원 하락했다. 매수자들이 관망하고 있는 가운데 소형의무비율 강화로 수익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했다. 이 아파트 112㎡는 이달 초 13억원에서 현재 12억6천만원까지 4천만원 떨어졌고, 119㎡는 15억5천만원에서 15억3천만원으로 2천만원 내렸다. 송파공인 최명섭 대표는 "소형의무비율 탓인지 주택형이 가장 작은 112㎡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며 "거래 건수도 지난 5~6월 각각 20가구에서 이달에는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구 둔촌 주공 4단지 112㎡는 9억2천만원에서 지난주 9억1천만원에 팔리며 실거래가가 1천만원 빠졌다. 이달 초 6억5천만원이던 둔촌 주공 3단지(고층) 76㎡는 최근 2천500만원 낮은 6억2천500만원에 팔렸다. 둔촌동 SK선경공인 박노장 사장은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주택거래신고 지정 등 추가 규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매수세가 위축되고 있다"며 "당분간 매매가도 숨고르기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층 재건축 단지인 강남구 대치 은마, 압구정 현대아파트 등도 지난주 매수 문의가 뚝 끊기면서 호가가 1천만원 정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부장은 "7월말과 8월초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중개업소들이 대거 여름 휴가를 떠남에 따라 거래는 더욱 위축될 것"이라며 "거래 비수기를 맞아 재건축 아파트값도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또 50㎡는 지난주 10억원에서 9억8천만원으로 2천만원 떨어졌지만 매수자가 나서지 않고 있다. 남도공인 이창훈 대표는 "개포 주공1단지는 8월중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가 해제되면 매물이 더 늘어나 가격 약세가 지속될 수도 있다"며 "당분간 시장 분위기는 매도자 우위에서 매수자 우위로 바뀔 것 같다"고 말했다. 중층 재건축 단지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도 지난주 매매값이 이달 초에 비해 2천만~4천만원 하락했다. 매수자들이 관망하고 있는 가운데 소형의무비율 강화로 수익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했다. 이 아파트 112㎡는 이달 초 13억원에서 현재 12억6천만원까지 4천만원 떨어졌고, 119㎡는 15억5천만원에서 15억3천만원으로 2천만원 내렸다. 송파공인 최명섭 대표는 "소형의무비율 탓인지 주택형이 가장 작은 112㎡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며 "거래 건수도 지난 5~6월 각각 20가구에서 이달에는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구 둔촌 주공 4단지 112㎡는 9억2천만원에서 지난주 9억1천만원에 팔리며 실거래가가 1천만원 빠졌다. 이달 초 6억5천만원이던 둔촌 주공 3단지(고층) 76㎡는 최근 2천500만원 낮은 6억2천500만원에 팔렸다. 둔촌동 SK선경공인 박노장 사장은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주택거래신고 지정 등 추가 규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매수세가 위축되고 있다"며 "당분간 매매가도 숨고르기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층 재건축 단지인 강남구 대치 은마, 압구정 현대아파트 등도 지난주 매수 문의가 뚝 끊기면서 호가가 1천만원 정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부장은 "7월말과 8월초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중개업소들이 대거 여름 휴가를 떠남에 따라 거래는 더욱 위축될 것"이라며 "거래 비수기를 맞아 재건축 아파트값도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