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8.31년…0.24년 더 길어져
지난 2~3년 동안 집값이 큰 폭으로 올라, 서민들의 ‘내집 마련’이 더 힘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이 6일 발표한 ‘200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이 가구주가 된 뒤 처음으로 주택을 마련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8.31년으로 2년 전인 2006년(8.07년) 조사 때보다 0.24년이 더 길어졌다. 수도권은 평균 8.96년으로 2006년에 비해 1.06년, 광역시는 8.84년으로 0.24년이 각각 늘어났다. 도 지역만 7.19년으로 0.79년 줄었다.
최초 주택마련 기간이 길어진 것은 2006년 10월 주거실태조사 뒤 2008년 12월 실태조사 시점까지 집값이 크게 오른데 따른 것이다. 국민은행 조사에서 이 기간 수도권 주택가격은 20.6% 상승했다.
집값이 뛰면서 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비율을 나타내는 피아이아르(PIR)지수는 2006년 전국 기준 4.2배에서 지난해 4.3배로 늘었다. 이는 일반 직장인 가구주가 4.3년 동안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집을 한 채 살 수 있음을 뜻한다.
집값이 많이 오른 수도권 피아이아르는 2년 전 5.7배에서 지난해 6.9배로 증가했다. 특히 서울은 2006년 7.5배에서 지난해 9.7배로 높아졌다. 미국 샌프란시스코(9.5배), 뉴욕(9.3배), 일본 동경(9.1배)보다 높은 수준이다.
내집을 가진 ‘자가 가구’ 비율은 지난해 기준 56.39%로 2년전인 2006년(55.57%)보다 0.82%포인트 높아졌다.
보유한 주택자산 가액은 전국 평균 1억2327만원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억8727만원, 광역시 8026만원, 도지역 6190만원 차례였다. 주택자산 가액은 전 지역에서 늘었지만 수도권 증가율이 7.07%로 가장 높았다.
이번 주거실태조사는 2006년 이후 두번째 실시된 것으로 가구특성, 주거환경, 주거 이동 등 국민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3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