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특집] 건설업계 친환경인증 열풍
‘친환경기술’ 분양값 올리나
‘친환경기술’ 분양값 올리나
주택 건설사들이 최근 분양하는 아파트마다 ‘친환경’ 도장을 찍고 있다. 높은 녹지율과 에너지 효율, 신재생 에너지를 적용한 아파트를 잇달아 선보이면서 소비자들도 친환경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 등은 추가장비 설치가 요구되는 만큼 분양가가 올라가는 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초기 건축비용은 높지만 관리비용이 낮아져 장기적으로는 소비자들에게 이득이라고 입을 모은다.
대우건설이 계획중인 2020년 제로에너지 하우스 관리비 추정 자료를 보면,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로 인해 아파트 관리비가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재생 에너지가 급탕과 난방, 가스, 전기요금을 ‘0’ 수준으로 만들어 입주자들은 일반관리비와 경비비, 청소·소독비 등만 내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시스템을 갖추려면 국내 기준으로 3.3㎡당 300만원의 건축비 증가가 예상된다. 분양 면적 105㎡형 아파트를 예로 들면 1억원 정도의 추가 비용이 분양가에 들어가는 셈이다.
하지만 최근 건설업체들의 친환경 기술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전문가들은 이런 건축비가 큰 폭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친환경 설계를 하면 건축비가 현재는 30% 수준 인상되지만, 2012년까지는 기술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켜 건축비 인상 수준을 10%대로 떨어뜨릴 수 있다”며 “이럴 경우 건축비를 회수하는 데 7년밖에 걸리지 않아 건설사와 입주자 모두에게 경제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커뮤니티시설과 가로등 등 공용시설에 적용된 신재생 에너지 시설은 분양가 상승 없이, 건설사가 모든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한 대형건설업체 관계자는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경제성이 한참 떨어져 투자비 환수 기간이 수십년 걸린다”며 “그렇다고 연구개발에 손을 놓아버리면 제자리걸음인 만큼, 연구 차원에서 회사 부담으로 친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경희대 건축공학과 김정태 교수는 “우리보다 친환경 기술이 앞선 미국의 경우는 친환경 건물의 건축비가 5% 정도 더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정부가 나서서 용적률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해 건설사들의 기술 개발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황춘화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