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중
매매가 대비 39.77% 차지
경기 43.46%-인천 44.19%
경기 43.46%-인천 44.19%
서울에 있는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중이 5년 전인 2005년 4분기 수준으로 높아졌다. 아파트 매맷값은 약세를 이어간 반면에 전셋값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차이가 줄고 있는 것이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의 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 서울지역 아파트의 매맷값 대비 전셋값 비중은 39.77%로 2005년 4분기(41.01%) 이후 4년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경기도는 43.46%로 2006년 1분기(43.99%)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고, 인천은 44.19%를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서대문구(49.94%), 동대문구(47.63%), 관악구(47.55%), 중랑구(47.03%) 등이 전세가 비중이 높았다. 이곳은 매매 수요보다 중소형 위주로 전세 수요가 많은 곳이다. 반면 집값이 비싼 서초(36.54%), 송파(35.96%), 강동(34.32%), 강남(33.62%) 등 강남 4개구와 용산(32.63%) 등은 낮았다.
경기도는 평택시가 55.89%로 전셋값 비중이 가장 높았고, 안성(51.59%), 오산(51.3%), 수원(50.63%)도 50%를 넘었다. 하지만 집값이 비싼 곳인 과천시(30.4%)와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집중돼 한동안 전셋값이 곤두박질했던 파주(35.12%), 양주(36.12%), 용인(37.5%) 지역의 전셋값 비중은 40% 미만이었다.
수도권의 전셋값은 2000년대 초반에는 매맷값 대비 50~70% 수준에 이르렀다가 2002~2006년까지 부동산 경기 호황으로 매맷값이 급등하면서 40% 이하로 떨어졌다. 이후 2007년부터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매맷값은 떨어지고 전셋값은 올라 경기도를 중심으로 이 비중이 40%대를 넘어서기 시작했고, 최근 서울도 40%에 육박하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전세가격이 지난해부터 눈에 띄게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전셋값 비중이 평균 50%에 못 미치고 있고 금리인상 가능성도 있는 만큼 투자 목적으로 주택을 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허종식 선임기자 jong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