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2억5천만원 올라
부산·김해 상승세 두드러져
부산·김해 상승세 두드러져
올해 전국에서 값이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268㎡(공급면적 기준)형과 같은 동의 신반포(한신1차) 92㎡형으로 나타났다. 두 아파트는 지난해 말에 견줘 각각 2억5000만원 상승했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가 전국 300가구 이상 아파트를 대상으로 값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래미안반포퍼스티지 268㎡형은 현 시세가 32억원으로 지난해 말(29억5000만원)에 견줘 2억5000만원 올랐다. 재건축을 추진중인 신반포(한신1차) 92㎡형은 지난해 말 14억1000만원에서 현재 16억6000만원으로 상승했다.
올해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이 아파트들의 값이 오른 것은 서초구 반포·잠원동 일대의 경우 새 아파트 공급이 없었던 반면 자녀 교육이나 교통 여건 등 요인으로 집을 구하는 사람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위는 양천구 목동 하이페리온2차 123㎡형으로 지난해 말 9억5000만원에서 현재 11억원으로 1억5000만원 올랐다. 양천구 신정동 삼성쉐르빌1차 공급면적 185㎡형과 광진구 자양동 더샵 스타시티 159㎡에이치(H)형도 올 들어 각각 1억원이 오르며 뒤를 이었다.
경기도에서는 분당 정자동 아이파크 분당 244㎡형(18억5000만원)과 정자동 파크뷰 258㎡에이(A)형(28억원)이 지난해 말에 견줘 각각 1억원이 올라 눈에 띄었다.
지방에서는 올해 집값이 급등세를 보인 부산의 동래구 온천동 벽산아스타 221㎡형(7억1500만원)과 부산 해운대구 우동 대우트럼프월드센텀1차 168㎡에이형(9억원)이 각각 9000만원 올라 상승액이 가장 컸다.
상승률 기준으로는 상위 10위권에 경남 김해시의 아파트가 8곳이나 포함됐다. 김해시 구산동 광남 백조 49㎡형은 현재 8000만원으로 지난해 말(4500만원)에 견줘 77.8% 상승해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김해시 내동 현대1차 69㎡형으로 8500만원에서 1억4500만원으로 70.6% 뛰었다. 전북 전주시 평화동2가 현대아파트 95㎡형도 올 들어 62.9% 상승했다.
허종식 선임기자 jong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