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전국 20개 상가 1000여개 점포를 비대면 주문이 가능한 ‘스마트 시범상가’로 조성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올해 총 17억원이 투입된다.
스마트 시범상가 조성 대상은 50개 이상 점포가 밀집돼 있고, 상인회나 번영회 등 조직화한 사업 주체가 있는 상점가다. 중기부는 스마트 시범상가로 선발된 곳에 모바일 예약·주문·결제가 가능한 스마트오더 시스템을 설치해 준다. 일반형 상가에는 스마트오더만, 집약형 상가에는 스마트오더와 스마트기술 도입을 모두 지원한다. 스마트기술은 소상공인의 업종과 특성별로 스마트미러(정보전달 화면이 결합된 거울), 풋 스캐너(발을 올리면 3차원 이미지로 발 사이즈와 모양을 측정하는 기기) 등을 지원한다.
지원 규모는 일반형 상가는 최대 1억1500만원, 집약형 상가는 최대 2억1500만원까지다. 일반형 상가는 약 15곳 750개 점포를, 집약형 상가는 약 5곳 350개 점포를 모집한다. 선발된 시범상가 가운데 5곳 내외에는 1억원 가량의 디지털 사이니지(상점 위치, 취급제품, 지역명소 등을 종합 안내하는 디지털 옥외광고)도 설치해준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