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24일 백악관에서 구제금융에 대한 의회의 협력을 요청하는 텔레비전 연설을 하기에 앞서 사진기자들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
“구제금융 없으면 경제 곤두박질”
“법안 지체땐 신용경색 심화”
의회예산국 “큰 재앙 초래” 24일 밤 9시(현지시각),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비장한 표정으로 미리 준비한 대국민 성명 원고를 또박또박 읽어 나갔다. 그가 황금시간대에 경제 현안을 갖고 대국민 연설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된 긴급성명에서 “우리 전체 경제가 위험에 빠졌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의회에 보내는 ‘최후통첩’인 셈이다. 행정부가 지난 20일 의회에 제출한 7천억달러(약 810조원)의 구제금융 법안이 민주당의 반대로 엿새째 표류하자, 다시 한번 행정부 수반인 그가 직접 나선 것이다. 법안 통과가 지연되면서, 미국 증시는 사흘 내리 하락했다. 그는 성명에서 “만약 의회가 빨리 통과시키지 않으면 길고도 고통스러운 경기침체가 찾아올 수 있다” “법안은 특정 개인이나 기업이 아닌 전체 미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의회의 협력을 요청했다. 이 법안의 뼈대는 정부가 앞으로 2년 동안 주택담보대출(모기지)과 연계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최대 7천억달러까지 매입해 금융시장의 불안요소를 제거한다는 내용이다. 부시 대통령은 긴급성명에 이어 25일엔 버락 오바마 민주당 후보와 존 매케인 공화당 후보를 백악관으로 불러 초당적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뉴욕 타임스>가 전했다. ‘경제 대통령’으로 불리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도 ‘중대한 위협’ 등 음울한 단어를 곁들이며 부시 대통령의 대의회 압박을 거들었다. 그는 24일 “법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미국 경제 전체가 곤두박질칠 수 있다”며 시급성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그는 법안이 지체되면 주택 소유자와 중소업체, 소비자들의 신용경색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미 의회예산국(CBO)은 행정부 수장과 중앙은행 수장의 ‘합작품’이 더 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피터 오자그 의회예산국장은 이날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역설적이지만 구제금융 법안이 현재의 금융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며 “장부상 고평가된 부실자산의 가격이 투명해지는 과정에서 대형 금융사들을 추가로 파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전했다. 법안이 되레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미 국가기관에서 나온 것은 처음이다. 부시 행정부는 민주당의 요구사항인 지원 대상 금융기관 경영자의 연봉 제한 등을 수용하며, 법안 통과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화·민주 양당 지도부는 25일 오전에 만나 최종 담판을 지을 예정이다. 세계 금융시장의 눈과 귀가 이들의 만남에 쏠려 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의회예산국 “큰 재앙 초래” 24일 밤 9시(현지시각),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비장한 표정으로 미리 준비한 대국민 성명 원고를 또박또박 읽어 나갔다. 그가 황금시간대에 경제 현안을 갖고 대국민 연설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된 긴급성명에서 “우리 전체 경제가 위험에 빠졌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의회에 보내는 ‘최후통첩’인 셈이다. 행정부가 지난 20일 의회에 제출한 7천억달러(약 810조원)의 구제금융 법안이 민주당의 반대로 엿새째 표류하자, 다시 한번 행정부 수반인 그가 직접 나선 것이다. 법안 통과가 지연되면서, 미국 증시는 사흘 내리 하락했다. 그는 성명에서 “만약 의회가 빨리 통과시키지 않으면 길고도 고통스러운 경기침체가 찾아올 수 있다” “법안은 특정 개인이나 기업이 아닌 전체 미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의회의 협력을 요청했다. 이 법안의 뼈대는 정부가 앞으로 2년 동안 주택담보대출(모기지)과 연계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최대 7천억달러까지 매입해 금융시장의 불안요소를 제거한다는 내용이다. 부시 대통령은 긴급성명에 이어 25일엔 버락 오바마 민주당 후보와 존 매케인 공화당 후보를 백악관으로 불러 초당적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뉴욕 타임스>가 전했다. ‘경제 대통령’으로 불리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도 ‘중대한 위협’ 등 음울한 단어를 곁들이며 부시 대통령의 대의회 압박을 거들었다. 그는 24일 “법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미국 경제 전체가 곤두박질칠 수 있다”며 시급성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그는 법안이 지체되면 주택 소유자와 중소업체, 소비자들의 신용경색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미 의회예산국(CBO)은 행정부 수장과 중앙은행 수장의 ‘합작품’이 더 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피터 오자그 의회예산국장은 이날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역설적이지만 구제금융 법안이 현재의 금융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며 “장부상 고평가된 부실자산의 가격이 투명해지는 과정에서 대형 금융사들을 추가로 파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전했다. 법안이 되레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미 국가기관에서 나온 것은 처음이다. 부시 행정부는 민주당의 요구사항인 지원 대상 금융기관 경영자의 연봉 제한 등을 수용하며, 법안 통과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화·민주 양당 지도부는 25일 오전에 만나 최종 담판을 지을 예정이다. 세계 금융시장의 눈과 귀가 이들의 만남에 쏠려 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