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상파울루에서 9일 열린 주요·신흥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도중에 기자회견이 마련돼, 기두 만테가(가운데) 브라질 재무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스티븐 팀스 영국 재무장관, 오른쪽은 트레버 마누엘 남아공 재무장관. 상파울루/블룸버그뉴스 연합
15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열릴 주요·신흥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각국이 세계적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 인하와 경기부양책을 포함한 모든 조처를 동원하기로 다짐했다.
9일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주요·신흥 20개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끝난 뒤, 각국은 공동성명을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회복하고 향후 닥쳐올 위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필요한 조처에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포함된다는 점을 명시했다. 각국은 신용위기로 무너진 국제금융시스템을 개혁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도 형성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전했다.
특히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등 브릭스 4개국은 회의에 앞서 지난 7일 별도로 회동을 하고 선진국에 금융위기 대처를 위한 강도 높은 추가조처를 촉구했다. 이들은 또 “(주요 7개국(G7) 대신) 주요·신흥 20개국 회의가 앞으로 국제적 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회의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파이낸셜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기대가 너무 과대평가됐다”며 “1944년 브레턴우즈 체제를 마련하는 데 2년이 걸렸는데, 하룻밤 사이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겠는가”라며, 큰 기대를 삼갈 것을 주문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유럽이 금융시장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원하지만, 정작 국경을 초월한 규제방식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여기에는 국제적 척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기술적 문제뿐 아니라, 금융기관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경계하는 미국과 공조를 취해야 한다는 정치적 문제까지 얽혀 있다.
선진국들이 신흥국가의 발언권을 얼마나 높여줄 수 있을지도 변수다. 중국은 9일 4조위안(약 5860억달러·775조원)의 부양책을 내놓으면서, 국제통화기금의 정책 결정에 더 큰 영향력을 끼치길 원하고 있지만, 칸 총재는 “투표권은 매우 복잡한 공식에 의해 결정돼 왔다”며 난색을 표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