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174억달러 긴급 자금투입 발표
“내년 3월말까지 자생력 갖춘다”는 조건 붙어
파산위기 넘겨…요청했던 140억달러보다 많아
크라이슬러 회장 “정부 요구 모두 수용하겠다” 파산 벼랑까지 몰렸던 미국 자동차업계가 19일(현지시각)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174억달러 긴급 자금 투여 발표로 고비를 넘기게 됐다. 이달말이면 현금 유동성 위기에 몰릴 운명이었던 제너럴모터스(지엠)와 크라이슬러는 각각 94억달러와 40억달러의 긴급 수혈로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엠은 하원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내년 3월까지 100억달러, 크라이슬러는 40억달러의 운영자금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백악관은 월가발 금융위기와 경기후퇴로 미국 경제가 허약해질 대로 허약해진 상태에서 자동차 업계의 파산까지 겹칠 경우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이 야기될 것을 우려해 전격적인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정부의 자금 지원에는 3월 말까지 회생 능력을 보여야 한다는 시한부 조건이 붙었다. 부시 행정부는 일단 단기 자금 투여로 자동차업계가 정상운영되도록 하면서 차기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 장기적인 구조조정을 맡긴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3월말까지 자동차 업체들이 자생력을 키우지 못할 경우 새 행정부 안에서 ‘파산’이라는 극약처방이 거론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백악관은 18일 자동차 업계가 ‘무질서한 파산’으로 치닫는 것은 막겠지만, 구제금융의 한 방식으로 ‘질서 있는 파산’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데이나 페리노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질서 있는 파산’을 거론한 데 이어, 헨리 폴슨 재무장관도 “가능한 한 자동차 업체의 파산은 피해야 하겠지만, 질서 있는 구조조정이 자동차 산업의 붕괴를 막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말해 파산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준비했음을 내비쳤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구제방안 발표 때 “정상적인 경제 상황에서는 실패한 회사가 치러야 할 대가가 파산이지만, 지금은 상황이 정상적이지 않다”며 “파산은 책임 있는 방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자동차 업계는 모든 것을 양보해야 한다”고 강조해 구제금융을 받는 대신 업체들이 파산에 준한 양보를 해야 할 것임을 분명히했다. 자동차 3사의 향후 자구 노력 정도에 따라 언제든지 파산이라는 강경책을 꺼내들 수 있는 여지를 남긴 것이다. <에이피>(AP) 통신은 의회 보좌관들의 말을 따, “파산에 대한 언급은 재무부가 자금지원의 대가로 자동차 회사와 노조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끄집어내는 전략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로버트 나델리 크라이슬러 회장은 이날 성명을 발표해 “정부의 구제금융은 눈앞에 닥친 현금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게 해주고 결국 수익성의 회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정부가 자금지원 대신 요구하는 모든 조건들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동차업계의 장기생존은 불투명하다. 조업중단이라는 극단적인 자구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경기후퇴가 지속돼 판매량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눈앞의 현금 유동성이 해결됐다고 해서 미래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근영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파산위기 넘겨…요청했던 140억달러보다 많아
크라이슬러 회장 “정부 요구 모두 수용하겠다” 파산 벼랑까지 몰렸던 미국 자동차업계가 19일(현지시각)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174억달러 긴급 자금 투여 발표로 고비를 넘기게 됐다. 이달말이면 현금 유동성 위기에 몰릴 운명이었던 제너럴모터스(지엠)와 크라이슬러는 각각 94억달러와 40억달러의 긴급 수혈로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엠은 하원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내년 3월까지 100억달러, 크라이슬러는 40억달러의 운영자금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백악관은 월가발 금융위기와 경기후퇴로 미국 경제가 허약해질 대로 허약해진 상태에서 자동차 업계의 파산까지 겹칠 경우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이 야기될 것을 우려해 전격적인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정부의 자금 지원에는 3월 말까지 회생 능력을 보여야 한다는 시한부 조건이 붙었다. 부시 행정부는 일단 단기 자금 투여로 자동차업계가 정상운영되도록 하면서 차기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 장기적인 구조조정을 맡긴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3월말까지 자동차 업체들이 자생력을 키우지 못할 경우 새 행정부 안에서 ‘파산’이라는 극약처방이 거론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백악관은 18일 자동차 업계가 ‘무질서한 파산’으로 치닫는 것은 막겠지만, 구제금융의 한 방식으로 ‘질서 있는 파산’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데이나 페리노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질서 있는 파산’을 거론한 데 이어, 헨리 폴슨 재무장관도 “가능한 한 자동차 업체의 파산은 피해야 하겠지만, 질서 있는 구조조정이 자동차 산업의 붕괴를 막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말해 파산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준비했음을 내비쳤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구제방안 발표 때 “정상적인 경제 상황에서는 실패한 회사가 치러야 할 대가가 파산이지만, 지금은 상황이 정상적이지 않다”며 “파산은 책임 있는 방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자동차 업계는 모든 것을 양보해야 한다”고 강조해 구제금융을 받는 대신 업체들이 파산에 준한 양보를 해야 할 것임을 분명히했다. 자동차 3사의 향후 자구 노력 정도에 따라 언제든지 파산이라는 강경책을 꺼내들 수 있는 여지를 남긴 것이다. <에이피>(AP) 통신은 의회 보좌관들의 말을 따, “파산에 대한 언급은 재무부가 자금지원의 대가로 자동차 회사와 노조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끄집어내는 전략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로버트 나델리 크라이슬러 회장은 이날 성명을 발표해 “정부의 구제금융은 눈앞에 닥친 현금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게 해주고 결국 수익성의 회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정부가 자금지원 대신 요구하는 모든 조건들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동차업계의 장기생존은 불투명하다. 조업중단이라는 극단적인 자구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경기후퇴가 지속돼 판매량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눈앞의 현금 유동성이 해결됐다고 해서 미래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근영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