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응땐 법적대응 가능성 내비쳐
미국 정부와 내부고발 웹사이트인 위키리크스(wikileaks.org)의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미 국방부는 5일 위키리크스에 아프가니스탄 전쟁 관련 모든 기밀 자료를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아직 공개하지 않은 자료들의 폭로 중지를 촉구하고, 국방부의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법적 대응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제프 모렐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위키리크스가 대량의 문서들을 공개해 미군과 동맹국, 아프간 협력자들의 안전을 위험에 빠뜨렸다”며 “위키리크스는 모든 자료를 반환하고 웹사이트에 게시된 자료들을 삭제하고 컴퓨터에 보관된 모든 자료를 영구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추가 폭로는 피해를 더욱 악화할 뿐”이라며 “위키리크스는 ‘올바른 행동’을 하라”는 충고도 곁들였다.
최근 아프간전 관련 기밀정보 7만7000여건을 폭로한 위키리크스 쪽은 “모렐 대변인의 발언이 몹시 불쾌하다”고 응수한 뒤, 자신들에 대한 대중적 기부를 호소하고 나섰다. 트위터 메시지를 통해 “국방부의 요구는 공식적인 위협”이란 입장도 밝혔다. 위키리크스는 나아가 암호해독 열쇠가 없이는 내용을 볼 수 없는 대용량 암호화 파일을 웹사이트에 올려, 추가적인 기밀공개 준비를 마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위키리크스는 1만5천여건의 미공개 자료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미 국방부는 그 자료들의 웹사이트 공개를 막을 권한이 없다.
미 국방부는 전문가 80명을 동원해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문건들을 일일이 분석하고 있다. 모렐 대변인은 “위키리크스에 대한 법적 대응은 연방수사국(FBI)과 법무부가 결정할 일”이라면서도, “위키리크스가 정부 관리들의 불법을 교사한 책임이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미국 뉴스웹사이트 <데일리 비스트>는 지난 3일 “위키리크스 쪽이 미 국방부에 추가 자료공개가 아프간전 관련자들에 위협이 되지 않도록 편집하기 위한 공동 검토를 제안했다”고 보도했으나, 미 국방부는 그런 제안을 받은 바 없다고 부인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