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위 “백악관이 최악 시나리오 공개 못하게”
지난 4월 발생한 멕시코만 원유유출 사고와 관련해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사고 발생 초기 최악의 유출 시나리오를 국민들에게 경고해야 한다는 과학자들의 의견을 저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오바마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구성된 원유유출조사위는 6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사고 발생 2주 뒤 해양경비대와 국립대기해양청(NOAA) 과학자들이 이런 시나리오들을 공개하겠다며 허가를 요청했지만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이 이를 기각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초기 원유 유출량을 과소평가한데다 유정을 막은 이후에도 멕시코만 잔류 원유량과 환경에 미칠 영향 등을 계속 과소평가해, 행정부가 원유유출 문제를 처리할 완벽한 능력을 갖추지도 못하고 국민들에게 솔직하지도 못했다는 인상을 줬다”고 지적했다.
이 사고로 11명의 노동자가 죽고 모두 2억600만갤런의 원유가 유출됐다. 사고를 낸 비피(BP) 쪽은 발생 초기 하루 4만2000갤런(1000배럴) 유출을 주장했고, 한달 뒤 행정부 관리들은 하루 21만갤런(5000배럴)을 언급했다가 8월엔 하루 260만갤런(약 6만배럴)으로 정정했다. 국립해양대기청의 과학자들은 사고 발생 초기에 최악의 경우 하루 270만~460만갤런(약 6만~11만배럴)의 유출 가능성을 이미 제기했었지만 이런 경고가 묵살된 것이다. 예산관리국은 국립대기해양청의 분석을 무시한 이유에 대해 “추정의 신빙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번 보고서는 원유 유출량과 잔류 원유량을 둘러싸고 계속됐던 행정부와 민간 과학자들간의 논쟁의 중심에 백악관을 밀어넣은 셈이다. 보고서는 “정치적 과정이 우선돼 과학자들의 역할이 개입할 여지가 없었다”며 “이번 재앙 동안 국민적 신뢰의 상실은 우연히 발생한 홍보상의 실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