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마 빈라덴
오바마 대통령 직접 결정
“추가폭력 자극하지 않게”
“추가폭력 자극하지 않게”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각) 사살된 오사마 빈라덴의 시신을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시비에스>(CBS) 방송의 프로그램 ‘60분’과의 인터뷰에서 “머리에 총을 맞은 사람의 사진이 추가적인 폭력을 자극하며 돌아다니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미군이 사살하고 바다에 수장한 그 사람이 빈라덴이라고 확신한다며, 그 사진을 공개한다고 해도 의심하는 사람들을 침묵시키지는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이 안보팀과 상의한 뒤 이 결정을 직접 내렸다고 밝혔다.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과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사진 비공개에 찬성한 사람들이라고 한 고위 관리가 밝혔다. 하지만 미 행정부 안에서 다른 의견도 있었다. 리언 파네타 중앙정보국장은 <엔비시>(NBC)와의 회견에서 그 사진들이 궁극적으로는 공개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정부 밖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린지 그래엄 공화당 상원의원은 빈라덴의 은신처를 폭격하지 않고 특공대를 보낸 것은 빈라덴이 죽었다는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외에서 우리의 이익을 보호하는 최선의 방법은 빈라덴이 죽었다는 것을 세계에 증명하는 것”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에 말했다. 극우 성향의 세라 페일린 전 알래스카 주지사도 트위터에 올린 글을 통해 “미국을 파괴하려는 다른 이들에 대한 경고로 사진을 공개하라”며 “우유부단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그 사진을 봤다는 마이크 로저스 하원 정보위원장은 “세계 전역의 음모론들은 그 사진이 조작됐다고 주장할 것이고, 사진 공개는 중동 여론에 불을 지르는 구실이 될 위험이 있다”며 공개에 반대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