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에서 유럽 및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미국 파생상품 책임자를 맡았던 그렉 스미스
“돈벌이에 혈안…고객 기만도 불사”
현 최고경영자 등 원흉 지목
월가 도덕성 또다시 도마에
현 최고경영자 등 원흉 지목
월가 도덕성 또다시 도마에
골드만삭스에서 퇴직하는 한 임원의 신문 기고가 다시 월가를 비판 여론의 폭풍 속에 밀어넣고 있다.
골드만삭스에서 유럽 및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미국 파생상품 책임자를 맡았던 그렉 스미스(사진)는 회사를 떠나면서 <뉴욕타임스>에 14일 고객의 이익을 무시하는 골드만삭스의 문화를 비판하는 글을 기고했다.
12년간 이 회사에서 근무한 그는 골드만삭스의 환경이 이제 “독성이 있고 파괴적”이라며 “고객의 이익은 회사가 운영되고 돈 버는 방식에 옆으로 밀려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골드만삭스의 회의에서 “단 일분도 우리가 고객에게 어떻게 도움을 줄 것인가라고 질문하는 데 쓰이지 않는다”며 “순전히 고객들 돈을 가능한 한 최대한 짜내기 위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골드만삭스의 이런 문화가 현재 최고경영자인 로이드 블랭크페인과 사장인 게리 콘에 의해 주도됐다며 회사의 도덕성 추락은 장기적 생존에 가장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고객들에 대한 기만도 주저하지 않아야 경영진으로 올라선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회사가 보기에 잠재적 이익이 클 것 같지 않은 주식이나 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해 고객들에게 이에 투자하라고 꼬셔야 한다며, 이는 자신들의 은어로 ‘회사의 도끼을 쓰라’는 것이라고 공개했다. 또 ‘코끼리를 사냥하라’는 것은 골드만삭스에게 가장 큰 이익을 줄 거래에 고객들을 유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세 글자로 된 약어를 가진 불투명한 상품을 거래하는 것도 승진에 도움이 된다고 꼬집었다.
스미스의 기고는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신문에 크게 다뤄지면서, 월가 점령 운동 등으로 도덕성에 상처를 입은 월가의 관행을 또다시 도마에 올렸다. 스미스로부터 직격탄을 맞은 블랭크페인 최고경영자는 “우리의 가치와 문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 한 개인의 주장을 읽고 실망했다”며 “그의 주장은 대부분의 직원들이 회사에 대해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고 말했다. 회사 대변인도 즉각 성명을 내고 그의 주장을 반박하는 등 골드만삭스 쪽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스미스의 주장이 새삼스러운 것도 아닌데 반향을 일으키는 것은 그만큼 월가에 대한 대중들의 분노가 잠재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바다밑에서 잠수복 입고 ‘상어 생태관광’ 인기
■ 미 법률단체 “한-미FTA, 나프타보다 공공정책 더 위협”
■ [곽병찬 칼럼] 비굴해도 어쩌겠나, 날이 저무는데
■ 병주고 약주고…담배 파는 KT&G ‘생명사업’ 꽃단장
■ 사이보그 된 달팽이, 전기를 생산하다
■ 바다밑에서 잠수복 입고 ‘상어 생태관광’ 인기
■ 미 법률단체 “한-미FTA, 나프타보다 공공정책 더 위협”
■ [곽병찬 칼럼] 비굴해도 어쩌겠나, 날이 저무는데
■ 병주고 약주고…담배 파는 KT&G ‘생명사업’ 꽃단장
■ 사이보그 된 달팽이, 전기를 생산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