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전자책 가격 담합 혐의로 애플과 대형 출판사들을 고소했다. 이 소송 결과에 따라 전자책 시장 헤게모니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아마존과 애플의 싸움이 결판날 수도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 법무부는 11일 애플과 펭귄 그룹, 맥밀란 등 대형출판사를 전자책 가격 담합 혐의로 제소했다고 밝혔다. <워싱턴 포스트> 등의 보도를 보면 이들 회사의 수뇌부는 이메일과 전화, 저녁식사 자리 등에서 아마존의 시장 지배력을 약화시키고 책값을 더 받기 위해 공모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자책 시장은 대형 온라인서점이자, 킨들이라는 전자책 단말기를 자체 공급하는 아마존이 꽉 쥐고 있다. 아마존은 킨들 보급 확대를 위해 출판사들에게 전자책 가격을 9.99달러 이하로 낮추도록 종용하고 있고, 출판사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이 방침을 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출판사 아셰트는 “아마존이 실질적으로 전자책과 전자책 단말기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책값을 더 받고 싶은 출판사들과 인기 태블릿 컴퓨터인 아이패드를 앞세워 전자책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던 애플은 의기투합했다. 애플은 2009년 아이북스토어라는 자체 전자책 장터를 열고, 책값을 16.99달러 이하에서 자유롭게 정하도록 했다. 애플은 전자책 판매액의 30%를 수수료 명목으로 가져간다.
미 법무부는 이들이 ‘아마존 타도’를 기치로 내걸고 ‘아이키도(합기도) 무브’라는 별명을 사용하며 이런 담합행위를 저질렀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담합으로 전자책 사용자들이 추가로 들인 비용을 합치면 최대 1억달러에 이른다고도 덧붙였다.
이형섭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에 쏠리는 눈…“등판 타이밍만 남았다”
■ 문재인, 박근혜와 대선 맞붙을 땐 부산서 약진 가능성
■ 야 패배로 ‘불법사찰 국정조사’ 힘들어져
■ 4할타자 사라진 이유가 선수들이 잘해서?
■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 안철수에 쏠리는 눈…“등판 타이밍만 남았다”
■ 문재인, 박근혜와 대선 맞붙을 땐 부산서 약진 가능성
■ 야 패배로 ‘불법사찰 국정조사’ 힘들어져
■ 4할타자 사라진 이유가 선수들이 잘해서?
■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