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대선후보 밋 롬니
베인캐피털 등 10여곳 소환장 보내
운용수수료 활용해 소득세 줄인혐의
민주쪽 검찰총장 수사…논란불가피
롬니 변호사 “일반적·합법적 투자”
운용수수료 활용해 소득세 줄인혐의
민주쪽 검찰총장 수사…논란불가피
롬니 변호사 “일반적·합법적 투자”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 밋 롬니(사진)가 설립한 베인캐피털 등 사모펀드 회사 10여곳이 탈세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한참 달아오르고 있는 미국 대선전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도 있는 사건이다.
<뉴욕 타임스>는 뉴욕주 검찰이 베인캐피털, 티피지(TPG)캐피털, 선 캐피털 파트너스 등에 소환장을 보냈다고 1일 보도했다. 이들이 세금을 내야 하는 수수료 수입을 다시 세율이 훨씬 낮은 투자금으로 전환해서 세금을 의도적으로 탈세했다는 혐의다. 이 신문에 따르면 뉴욕 검찰총장 에릭 슈나이더먼은 미국 굴지의 개인투자사인 이 회사들이 이런 방식으로 세금을 최소한 수억달러 이상 덜 냈다는 혐의를 잡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이 파악한 이들의 탈세 방법은 이렇다. 운용 수수료 수입은 매년 투자자가 사모펀드에 맡긴 자산 규모의 2% 수준이며, 이 소득에는 일반적인 소득세율 35%가 적용된다. 하지만 이 수수료를 받지 않는 대신 이를 다시 투자해 받는 성공보수를 수입으로 잡을 경우 세율은 15% 수준이다.
이런 절세전략은 지난달 베인캐피털의 2009년 재무자료가 공개되면서 세간에 알려졌다. 베인캐피털은 수수료 10억달러 이상을 투자 수익으로 전환해 연방소득세 2억달러와 의료보험료 2000만달러를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수사는 밋 롬니가 세운 회사가 표적이 됐다는 것만으로도 정치적 논란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 이미 버락 오바마 대통령 선거진영은 밋 롬니의 사모펀드 운영 경력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고 있다. 사모펀드들이 회사를 헐값에 매입한 뒤 분할 매각하는 방법으로 사람들의 일자리를 뺏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모펀드 설립 경력은 롬니에게 ‘서민 사정을 모르는 부자’라는 이미지를 씌우는 데도 요긴하게 이용되고 있다.
게다가 이번 수사에 나선 슈나이더먼 검찰총장이 민주당 출신으로 새로 임명됐다는 점에서 수사의 정치적 편향성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재정이 풍족하지 못한 뉴욕주가 세금을 대거 걷어들이기 위해 이번 수사를 기획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베인캐피털 재무자료가 공개되기 전에 이미 소환장이 발부됐다는 점이나 이번 수사를 뉴욕 검찰 납세자보호부서에서 주도하는 점 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롬니는 이미 베인캐피털에서 퇴사했지만 여전히 투자금에 따른 수익을 받고 있으며, 일부는 이렇게 문제가 된 절세전략을 사용하는 펀드에도 투자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롬니 일가의 재산을 관리하는 변호사 브래드퍼드 말트는 “수수료를 투자하는 것은 일반적인 방법이며 합법적”이라면서도 “롬니의 재산은 이런 투자 방식으로 혜택을 본 적이 없는 것은 확실하다”고 밝혔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조정래 “박근혜, 겉은 육영수 속은 박정희” 대통령 되면 ‘곤란’
■ 최악 치닫던 한-일, 진정 단계로 전환?
■ 대학가 암시장, ‘강의 사고 팝니다’
■ 은행에서 10%대 급전 빌리세요
■ 오바마 맥주 “비법은 벌꿀”
■ “나주 성폭행 범인 고씨, 피해자 고통에 공감 못해”
■ [화보] 우산의 수난시대
■ 조정래 “박근혜, 겉은 육영수 속은 박정희” 대통령 되면 ‘곤란’
■ 최악 치닫던 한-일, 진정 단계로 전환?
■ 대학가 암시장, ‘강의 사고 팝니다’
■ 은행에서 10%대 급전 빌리세요
■ 오바마 맥주 “비법은 벌꿀”
■ “나주 성폭행 범인 고씨, 피해자 고통에 공감 못해”
■ [화보] 우산의 수난시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