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의 50대 한인남성이 흑인남성에게 고의로 떠밀려 진입하던 지하철 전동차에 부딪쳐 사망해 충격을 주고 있다. 뉴욕시경(NYPD)은 20대로 추정되는 흑인남성이 3일 낮 12시30분경 맨해튼 7애버뉴 49가 역에서 지하철을 기다리던 한기석(58 퀸즈 엘머스트 거주) 씨를 갑자기 플랫폼 아래로 떠밀고 도주했다고 밝혔다. <사진=NYPD DCPI>
너무 무심한…
한인 남성 지하철 선로에 떠밀려 숨졌는데
사진기자, 구조는커녕 사진만 찍어 보도 비난
한인 남성 지하철 선로에 떠밀려 숨졌는데
사진기자, 구조는커녕 사진만 찍어 보도 비난
‘뉴욕포스트’ 1면 게재 논란
살인용의자 30살 흑인 검거 미국 뉴욕 지하철 맨해튼49번가역에서 한 50대 한인 남성이 선로에 떠밀렸다가 미처 피하지 못하고 열차에 치여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플랫폼에 서있던 누구도 구조의 손길을 내밀지 않았음은 물론 한 사진기자는 이 장면을 사진으로 찍어 신문 1면에 실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뉴욕포스트>는 지난 3일(현지시각) 20대 흑인이 한국인 한기석(58)씨를 열차 선로에 떠밀었고, 한씨가 선로를 벗어나려고 발버둥쳤으나 결국 진입한 열차에 치여 숨졌다며 이 장면을 찍은 사진을 1면 기사로 보도했다. 한씨는 사고 직후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곧 숨졌다. 이 신문은 한씨가 플랫폼에 팔을 올려놓은채 진입하는 전동차를 쳐다보고 있는 사진에다가 ‘선로에 밀려 떨어진, 이 남자는 곧 죽는다’는 큼직한 제목까지 달았다. 이 사진을 찍은 사람은 마침 그 자리에 있던 <뉴욕포스트>의 프리랜서 사진기자인 우마르 아바시다.
이 사진은 곧 미국 내에서 엄청난 논란에 휩싸였다. 사람이 죽는 상황에서 구해줄 생각은 하지 않고 기사를 위한 사진만 찍어댔다는 이유다. 하지만 <뉴욕포스트>는 아바시가 열차에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해 플래시를 터뜨린 것이라고 주장중이다. 목격자들은 당시 플랫폼에는 여덟명 정도의 사람이 있었는데, 너무 갑작스럽게 벌어진 일이라 한씨를 도울 시간이 없었다고 주장중이다.
뉴욕경찰은 한씨를 선로로 밀어넣고 도주한 30살의 흑인 노점상 님 데이비스를 근처에서 체포해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그가 일부러 한씨를 밀었다는 자백을 받아냈다고 밝혔다. 그가 이런 짓을 벌인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사실 검증] 박정희, 일왕에 혈서쓰고 일본군 장교됐나?
■ ‘여자 1호는 3호가 밉다’…이정희 토론 패러디 봇물
■ 박근혜, 전두환에 받은 6억 사회환원 어떻게 할까
■ 20개월만에 낮은 자세로…‘연아의 회귀 본능’
■ 에이전트에 맡겨진 ‘류현진의 운명’
■ 출산휴가 뒤 ‘자동 육아휴직 1년’ “직장 눈치볼 필요 없어 기뻤어요”
■ [화보] 전국에 눈이 펑펑~
살인용의자 30살 흑인 검거 미국 뉴욕 지하철 맨해튼49번가역에서 한 50대 한인 남성이 선로에 떠밀렸다가 미처 피하지 못하고 열차에 치여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플랫폼에 서있던 누구도 구조의 손길을 내밀지 않았음은 물론 한 사진기자는 이 장면을 사진으로 찍어 신문 1면에 실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뉴욕포스트>는 지난 3일(현지시각) 20대 흑인이 한국인 한기석(58)씨를 열차 선로에 떠밀었고, 한씨가 선로를 벗어나려고 발버둥쳤으나 결국 진입한 열차에 치여 숨졌다며 이 장면을 찍은 사진을 1면 기사로 보도했다. 한씨는 사고 직후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곧 숨졌다. 이 신문은 한씨가 플랫폼에 팔을 올려놓은채 진입하는 전동차를 쳐다보고 있는 사진에다가 ‘선로에 밀려 떨어진, 이 남자는 곧 죽는다’는 큼직한 제목까지 달았다. 이 사진을 찍은 사람은 마침 그 자리에 있던 <뉴욕포스트>의 프리랜서 사진기자인 우마르 아바시다.
■ [사실 검증] 박정희, 일왕에 혈서쓰고 일본군 장교됐나?
■ ‘여자 1호는 3호가 밉다’…이정희 토론 패러디 봇물
■ 박근혜, 전두환에 받은 6억 사회환원 어떻게 할까
■ 20개월만에 낮은 자세로…‘연아의 회귀 본능’
■ 에이전트에 맡겨진 ‘류현진의 운명’
■ 출산휴가 뒤 ‘자동 육아휴직 1년’ “직장 눈치볼 필요 없어 기뻤어요”
■ [화보] 전국에 눈이 펑펑~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