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이끈 바이든과 매코널
상원서 숱한 협상 거치며 신뢰 형성
2010년 감세안 협상 때도 해결사로
상원서 숱한 협상 거치며 신뢰 형성
2010년 감세안 협상 때도 해결사로
미국의 ‘재정절벽’ 협상이 마지막날 극적으로 타결된 데는 조 바이든 부통령과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의 오랜 친분관계가 큰 기여를 했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지난 30일 오후(현지시각) 협상 파트너인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와의 협상이 속도가 너무 느리다며 협상을 중단하고, 바이든 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협상을 재개했다. 두 사람은 정치이념은 다르지만 28년간 상원의원으로 숱한 협상을 하면서 신뢰 관계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2010년 감세안과 2011년 국가부채한도 협상 때도 막판에 투입돼 협상을 타결지은 바 있다.
바이든 부통령은 최근 미국의 큰 현안으로 대두된 총기규제안을 만드는 작업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으로부터 위임받는 등 ‘백악관의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존 베이너 하원의장이 소속 당 하원의원들의 ‘반란’으로 협상을 포기한 어려운 국면에서 등판해 협상을 마무리짓는 수완을 발휘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두 사람은 각각 부통령과 상원의 소수당 원내대표로서 워싱턴의 가장 강력한 정치인들은 아니다”며 “개인적 친분관계가 워싱턴의 정치를 여전히 바꿀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한편 미국 상·하원이 막판에 가서야 합의를 한 뒤 ‘재정절벽’ 상태에 들어간 1일에야 표결에 들어간 것은 증세를 싫어하는 유권자들을 의식한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협상의 논의 대상인 ‘부시 감세안’은 2012년 12월31일 종료가 된다. 1월1일부터는 법에 따라 자동적으로 감세했던 부분에 대한 증세가 이뤄지게 된다. 따라서 이번에 두 당이 합의한 부부합산 연소득 45만달러 이상 가구에 대한 증세의 경우, 의회는 이들에 대한 증세안을 표결 처리하는 게 아니라,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계층에 대한 감세안을 표결 처리하게 된다. 처리 내용은 결과적으로 같지만, 유권자들에게는 증세가 아니라 감세를 했다고 말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