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너 하원의장, ‘예산과다’ 우려
법안 상정 않자 내부서 강력 반발
“역겹다” “등 뒤에서 칼을 꽂았다”
‘피해도시’ 뉴저지 지사 등 맹비난
“재정지출 탓 내부분열” 분석나와
법안 상정 않자 내부서 강력 반발
“역겹다” “등 뒤에서 칼을 꽂았다”
‘피해도시’ 뉴저지 지사 등 맹비난
“재정지출 탓 내부분열” 분석나와
민주당과의 ‘재정절벽’ 협상 결과를 놓고 찬반이 갈렸던 공화당이 이번엔 지난해 10월 미 동북부를 강타했던 폭풍 ‘샌디’의 구호 법안 때문에 내분이 일었다. 공화당 소속인 존 베이너(사진 오른쪽) 하원의장이 1일 밤 증세·재정삭감과 관련한 법안을 표결에 부치면서 ‘샌디 법안’을 상정하지 않자, 샌디에 큰 피해를 입은 뉴저지·뉴욕주 일대의 공화당 정치인들이 같은 당 동료들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공화당의 차기 대선 주자 중 하나로 꼽히는 크리스 크리스티(왼쪽) 뉴저지 주지사는 2일 기자회견을 열어 “공화당과 베이너 하원의장은 이중적이고 이기적이다”라고 비난했다. 그는 베이너 의장이 ‘샌디 법안’을 무시한 데 대해 “역겹다”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았다. 크리스티 주지사는 1일 밤 법안 통과 여부를 묻기 위해 베이너에게 4번이나 전화를 걸었지만 그가 모두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뉴욕주의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들도 가세했다. 피터 킹 의원은 <시엔엔>(CNN) 인터뷰에서 “그들은 등 뒤에서 칼을 꽂았다”고 말했고, 마이클 그림 의원도 <에이비시>(ABC) 인터뷰에서 “배신 행위”라고 분개했다.
그동안 미 의회는 자연재해가 닥치면 초당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뉴올리언스를 초토화시켰을 때 민주당과 공화당은 11일 만에 이재민 지원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번에도 상원은 하원으로 법안이 넘어가기 며칠 전에 일찌감치 지하철·교각·가옥 수선비, 자영업자 지원, 연방정부의 재해보험 확충 등을 위해 604억달러에 이르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애초 1일 밤 샌디 법안을 통과시킬 것으로 예상됐던 베이너 하원의장은 갑자기 태도를 바꿔 상정하지 않았다. 베이너 하원의장은 이날 재정절벽 협상과 관련해 내부에 너무 많은 혼란이 있었기 때문에 샌디 법안까지 표결에 부칠 경우 공화당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생각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는 2일 공화당의 로이 블런트 상원의원(미주리)의 말을 빌어 “구호 액수가 너무 컸기 때문에 베이너가 그런 결정을 내린 것 같다”고 전했다.
반발이 거세자, 베이너 하원의장은 2일 저녁 “연방정부의 재해보험 프로그램과 관련한 법안은 113대 국회가 첫 회의를 여는 4일 처리하고, 나머지 관련 법안은 15일까지 통과시키겠다”고 약속했다.
내홍은 하루가 채 지나기 전에 진정됐지만, 이번 사건은 앞으로 공화당 내부의 노선투쟁을 예고하는 전주곡이라고 볼 수 있다. 정치 전문가인 줄리언 젤리저 교수(프린스턴대)는 2일 <에이피>(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언제 어디서나 재정삭감을 주장하는 보수주의자들과 어떤 경우엔 재정지출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실용주의자들이 공화당 내부에서 분화하기 시작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짚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비밀주의 관행이 낳은 쪽지예산…친박 등 여야 실세 ‘수혜’
■ 국회의원들 외유 명분 ‘아프리카에서 예산심사 연구’?
■ “국정원 여직원 댓글 전문 확보”
■ 새해 시행 ‘카페인 함량 표시제’ 사용설명서
■ 아기 주민등록증도 만들어 드립니다
■ 이해인 수녀 “암보다 무서운 게…”
■ 총성없는 전쟁…사흘만에 4400만 회
■ 비밀주의 관행이 낳은 쪽지예산…친박 등 여야 실세 ‘수혜’
■ 국회의원들 외유 명분 ‘아프리카에서 예산심사 연구’?
■ “국정원 여직원 댓글 전문 확보”
■ 새해 시행 ‘카페인 함량 표시제’ 사용설명서
■ 아기 주민등록증도 만들어 드립니다
■ 이해인 수녀 “암보다 무서운 게…”
■ 총성없는 전쟁…사흘만에 4400만 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