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 드론 작전 사실상 지휘
지난 5년간 민간인 800여명 사망
오폭으로 인한 부작용 논란 커
고문 가까운 심문 프로그램 옹호
“비밀구금등 추궁해야” 목소리
지난 5년간 민간인 800여명 사망
오폭으로 인한 부작용 논란 커
고문 가까운 심문 프로그램 옹호
“비밀구금등 추궁해야” 목소리
미국 중앙정보국(CIA) 차기 국장으로 지명된 존 브레넌의 별명은 ‘드론 전사’다. 2009년 이래 백악관 대테러·국토안보 보좌관으로 있으면서 드론(무인기)을 사용한 알카에다 요인 암살 작전을 진두지휘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드론 작전은 높은 효율성만큼이나 민간인 오폭 등의 부작용도 큰 탓에 인선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브레넌은 오바마의 최측근으로 활동하며 드론 작전을 총괄 책임지고 이를 적극 옹호해 왔다. 그는 지난해 4월 워싱턴의 우드로윌슨센터 강연에서 “원격조종 비행기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일선에서 적군에 대한 살상무기 사용을 금지하는 국제법은 없다”면서 드론 전략이 적법하다고 주장했다. 또 “드론 공격보다 더 민간인 피해를 줄이면서 적군 요인을 암살하는 방법은 없다”며 정당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인터넷 대안매체 탐사저널리즘사무국(BIJ)의 집계를 보면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한 2008년 이후 파키스탄과 예멘에서 이뤄진 298차례의 드론 공격 사망자 3000여명 중 민간인이 최대 800여명에 이른다. <시엔엔>(CNN)은 “사망자 대부분은 한푼이라도 벌기 위해 알카에다에 협력한 가난한 젊은이들”이라는 조지타운대 크리스토퍼 스위프트의 주장을 전했다.
브레넌이 고문에 가까운 이른바 ‘강화된 심문 프로그램’을 옹호해 왔다는 점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높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 로라 머피 사무국장은 “(청문회에서) 상원은 고문과 권한 남용, 비밀 구금 등에 대한 중앙정보국과 브레넌의 책임을 추궁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브레넌의 생각이 외부에 알려진 모습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중앙정보국이 직접 드론을 조종해 사실상 ‘전쟁’을 수행하는 ‘준군사조직’으로 변한 데 부정적이며, ‘외국 정부에서 정보를 훔치고 장기적인 분석을 하는’ 정보국 본연의 임무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인적으로 여러번 피력했다는 것이다. <뉴욕 타임스>는 전·현직 중앙정보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앙정보국에서 분석관으로 25년이나 일했던 브레넌이 전통적인 중앙정보국 역할로 회귀하는 방향으로 조직을 재정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형섭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인수위, 전문가라더니…‘유신2세’ 득실
■ ‘잘 나가는’ 서태지·싸이의 성공 뒤엔 늘 이 사람이…
■ 박준영 전남지사 “호남, 문재인 압도적 지지 충동적” 발언 논란
■ 보수단체 11곳도 “‘친일’ 이동흡 사퇴”
■ MB, 정권말 ‘철도 민영화 말뚝박기’ 비난 봇물
■ 박근혜 인수위, 전문가라더니…‘유신2세’ 득실
■ ‘잘 나가는’ 서태지·싸이의 성공 뒤엔 늘 이 사람이…
■ 박준영 전남지사 “호남, 문재인 압도적 지지 충동적” 발언 논란
■ 보수단체 11곳도 “‘친일’ 이동흡 사퇴”
■ MB, 정권말 ‘철도 민영화 말뚝박기’ 비난 봇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