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 미국-사회보장, 민영화로
지난 14일 뉴욕주 하이드파크의 프랭클린 루스벨트 박물관 앞 광장. 70여년 전 이날, 루스벨트 대통령의 서명으로 미국에 사회보장제가 탄생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000여명의 시민들이 모였다. 그러나 이날 행사는 부시 행정부가 추진 중인 연금 개혁안을 성토하는 목소리로 채워졌다. 뉴저지주의 은퇴 공무원 샬럿 존스(65)는 “(사회보장연금은) 그냥 내버려 두면 돼. 개혁안은 부시의 인기를 더 떨어뜨릴 뿐이야”라며 손을 내저었다. 곧 닥칠 적자 맞서 사회보장 일부 민영화 택해개인퇴직저축제 도입해 개인에 위험부담 전가
민주당 뿐 아니라 재계·공화당 의원들도 반대 미국 정계나 학계에서 사회보장기금의 수입·지출간 불균형 문제에 토를 다는 이는 없다. 사회보장국 이사회 분석을 보면, 사회보장연금제를 앞으로 75년 동안 현행대로 유지하려면 지금 당장 2% 포인트 가량 세율을 높이거나, 아니면 연금 급여율을 13% 가량 줄여야 한다. 그러나 사회보장세 징수대상인 임금소득 상한을 올리는 등의 세수 확대안은, ‘감세 정부’로까지 불리는 부시 행정부한테는 그리 매력적인 정책 수단이 아니다.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윌리엄 더들리 박사는 “임금소득 상한을 올리면 세수는 늘겠지만 그들에게 지급할 연금액도 동시에 늘어 불균형 문제 해결에 보탬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출 쪽에서는 평균 수명 증가에 연동해 퇴직 연금을 받는 나이를 늦추거나, 연금급여 증가율을 임금상승률 대신 물가상승률에 연동하는 방안들이 논의 중이다. 1965년 이후 미국의 명목임금은 연평균 7.0%, 소비자물가는 4.6% 각각 상승했기 때문에, 물가를 기준으로 하면 실질적인 연금혜택을 줄이지 않으면서 연금 지출을 연간 2.4% 줄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런 방안들은 모두 공공연금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수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이 연초 ‘소유권 사회’라는 기치를 내걸고 강력하게 추진 중인 연금 개혁안은, 지난 70년 동안 유지해 온 공공연금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라는 점에서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다. 올들어 주요 언론의 보도 비중에서 연금 문제는 이라크 전쟁이나 북핵 문제를 제치고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부시 개혁안의 핵심은, 현재 사회보장기금에 전액 납입하는 사회보장세(세율 12.6%)의 3분의 1(4%) 가량을 개인의 희망에 따라 개인계좌에 적립(개인퇴직저축제)해 이를 증권·채권에 투자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개인계좌의 수익률이 높아지면 정부와 기금과 재정 부담을 덜 수 있고 은퇴 후 연금액도 늘어난다는 명분이다. 사회보장세 부담을 키우거나 연금 급여액을 줄이지 않고 재정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사회보장제의 일부 민영화를 택한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과 노동계, 진보적 단체들은 물론 재계와 공화당 일부도 부시의 개혁안에 반대하고 있다. 민주당은 “70년 동안 미국인들의 신뢰를 받아온 공적연금 혜택을 도박으로 대체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 2042년에 기금이 고갈된다는 것은 부시와 공화당이 재정 문제를 실제보다 과장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 공화당 의원들은 유권자들의 연금 수령액이 줄어들면 내년 선거에서 표심을 잃을 게 뻔하다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매크로이코노믹 어드바이저스사의 조엘 프랙큰 회장은 “부시의 개혁안을 현재가치로 따져보면, 사회보장세 세수가 줄어드는 것과 향후 연금 지급액이 줄어드는 규모가 거의 상쇄되기 때문에, 재정 불균형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경제학)는 “주식시장은 수익률 변동이 심해 개인이 안아야 할 투자 부담이 너무 크다. 개인저축제는 정부가 개인한테 위험부담을 전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는 <뉴욕타임스> 칼럼에서 “지금의 사회보장제는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개혁안은 노후를 위해 저축을 하기보다는 더 많은 돈을 빌려 주식을 사서 차익이 생기기를 희망하라는 것과 다름없다.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것은 금융 전문가들이 절대로 하지 말라고 권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부시 대통령은 공화당 의원들조차 노인표를 의식해 반대하고 나서자 애초 안을 수정할 수 있다며 한발 물러서는 분위기다. 하지만 최근 지역 순회 연설에서 “(개혁안에)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걸 안다. 그러나 대통령의 임무는 여러 현안에 대처하는 것이고, 이를 장래의 대통령이나 국회에 전가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믿고 있다”며 개혁안 추진 의사를 거듭 밝혔다. 뉴욕/강인봉 통신원 inbkang@hanmail.net
10년 뒤면 적자…2042년엔 곳간 텅텅 빌듯 연금재정 현황
사회보장연금 수입·지출 전망
|
사회보장연금 수령자 대비 사회보장세 납부자의 수
|
| |||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