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항모 니미츠호의 갑판에서 조기경보기인 E-2C 호크아이가 이륙하고 있다. 미 해군 제공
미국이 남중국해에서의 중국의 진출을 막는 새로운 군사전술을 개발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과 인근 동남아 국가들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해역에서 보다 공격적인 초계 비행과 해상작전이 포함된 중국의 남중국해 진출 억제 군사전술을 모색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0일 보도했다. 미국의 이러한 대응은 중국이 세계경제의 사활적 수역 중의 하나인 남중국해에서 현상유지를 타파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저강도 침투 와중에서 나왔다.
신문은 미국의 고위 관리를 인용해 “남중국해에서 중국을 억제하려는 우리의 노력은 확실히 효과를 보지 못했다”며 미국이 중국 포위망을 위한 새로운 군사전술 개발 배경을 전했다.
지난 3월 미국의 초계기인 P-8A가 중국과 필리핀이 분쟁중인 스프라틀리제도(중국명 난사군도)의 산호초를 비행한 것은 미국의 개발중인 새로운 억제 군사전술의 일환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당시 미국 초계기들은 중국이 식별할 수 있도록 저공 비행을 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국방부의 한 관리는 “그 때 메시지는 ‘우리는 너희들이 하는 것을 알고 있고, 너희들의 행동은 대가를 치를 것이고 우리는 능력과 의지를 갖고 여기에 있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미국은 이 지역에서 항공초계를 시행해오고는 있으나, 신형 P-8A 초계기를 발진한 것은 처음이었다.
미 국방부는 지난해 중국이 동중국해에 배타적인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했을 때 B-52 폭격기를 그 해역에 비행시키는 등 계산된 힘의 과시를 위한 일련의 작전들을 고안했다. 그 작전에는 분쟁 지역에 해군 함정의 파견 등도 포함됐다.
미 정부 내에서는 중국 억제 수단으로 제안되는 방안 중에는 더 대결적인 것도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 민간 선박들의 활동을 억제하기 위한 미국 해양경비대의 남중국해 파견,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 어부들을 호위하는 미국 주도의 해상 호위대 구축 등이다. 하지만, 미국 행정부 내에서는 이런 대결적인 조처들에 대해서는 아직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는 지난 2010년 남중국해를 미국의 ‘국익’이라고 선포한 바 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