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당내 경선을 벌이고 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왼쪽)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9%포인트 차로 추월 당해
‘이메일 게이트’ 영향 큰듯
‘이메일 게이트’ 영향 큰듯
한때 대세론을 구가하던 미국 민주당의 대선 경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위기에 봉착한 형국이다.
상대 당인 공화당의 대선 경선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후보와 가상대결에서 밀리는가 하면, 초기 경선지역에서 같은 당의 경쟁 후보에게 지지율 역전을 허용하는 등 안팎에서 치명상을 입고 있다.
미국 NBC 방송이 이달 초 여론조사기관인 ‘마리스트 폴’과 함께 프라이머리(당원과 일반인이 함께 참여하는 경선방식) 경선이 가장 먼저 치러지는 뉴햄프셔주에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율이 같은 당의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에게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NBC 방송이 지난 2월부터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뉴햄프셔주 여론조사에서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율이 추월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라이머리 선거인단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356명(표본오차 ±5.2%포인트)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샌더스 후보는 41%의 지지율을 얻어 32%를 얻은 클린턴 후보를 9%포인트 차로 앞섰다.
이는 클린턴 후보가 42%, 샌더스 후보가 32%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한 지난 7월의 조사 결과에 비해 극명한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조 바이든 부통령이 출마하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하면 샌더스 후보의 지지율은 49%로 무려 8%포인트 더 오르고 클린턴 후보의 지지율은 6%포인트 오른 38%에 그쳐 격차가 더 벌어졌다.
당원투표가 치러지는 아이오와주에서 민주당원 345명(표본오차 ±5.3%포인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클린턴 후보의 지지율은 7월보다 11%포인트 떨어지고 샌더스 후보의 지지율은 2%포인트 오르면서 격차가 24%포인트에서 11%포인트로 좁혀졌다.
클린턴 후보의 지지율이 흔들리는 것은 국무장관 재직 시절 관용 이메일 대신 개인 이메일을 사용함으로써 기밀을 부적절하게 다뤘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른바 ‘이메일 게이트’가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대선 출마를 막판 저울질하는 바이든 부통령은 뉴햄프셔에서 16%, 아이오와주에서 20%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해 주목을 받고 있다.
공화당 대선 경선 후보 중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뉴햄프셔주에서 28%로 독보적 우위를 점하고, 존 카식(12%)과 벤 카슨(11%), 젭 부시(8%), 칼리 피오리나(6%) 후보가 뒤를 이었다.
아이오와주에서도 트럼프 후보가 29%로 선두를 유지한 가운데 카슨(22%) 후보가 선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19%로 1위를 달렸던 스콧 워커 후보는 무려14%포인트가 빠져 5%를 기록했다.
이에 앞서 5일(현지시각) ‘서베이유에스에이’가 실시한 전국 여론조사(9월2∼3일·1천명)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후보는 가상 양자 대결에서 클린턴 후보를 45%대 40%로 앞질렀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