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미국 샌버너디노 총기난사 사건의 용의자인 사이드 파루크와 타슈핀 말릭이 총격 뒤 타고 도주한 검은색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경찰 장갑차량들이 둘러싸고 있다. 용의자들은 범행 4시간 만에 경찰과의 총격전을 벌이다 숨졌다. 샌버너디노/AP 연합뉴스
SNS서 IS 지도자에 충성서약…자생적 극단화로 범행 가능성
총지휘 FBI “테러행위로 보고 수사”…직장내 ‘종교갈등’ 가능성도
총지휘 FBI “테러행위로 보고 수사”…직장내 ‘종교갈등’ 가능성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동부 샌버나디노 총기난사 사건을 조사 중인 수사당국이 4일(현지시간) 이번 사건을 테러로 규정짓고 ‘테러 수사’로 본격 전환했다.
수사당국은 총기난사 용의자들의 행적과 자택 등에서 발견된 증거물, 사건 전후정황 등을 통해 ‘테러 사건’으로 규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방수사국(FBI)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LA 동부 샌버나디노 총기난사 사건을 “테러행위(act of terrorism)로 보고 공식으로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사건은 테러 공격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연방수사국(FBI)이 수사를 지휘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FBI는 총기난사 용의자 사이드 파룩(28)의 부인 타시핀 말리크(27)가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지도자에게 충성서약을 했다는 단서를 잡고 IS와의 연계성을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미국 언론들은 이날 정부 당국자의 발언을 인용해 “범행에 동참한 말리크가 가명으로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IS 지도자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에게 충성서약을 한 사실이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뉴스 전문채널 CNN은 “당국자 가운데 한 명이 이번 총격사건에 대해 IS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면서도 “IS 또는 가담자가 범인들에게 이번 사건을 지시했다는 정황이 발견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수사당국은 또 파룩의 집 컴퓨터 하드디스크가 사라졌으며, 사건 현장 인근에서파룩의 것으로 보이는 신형 휴대전화 2대가 파손돼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앞서 FBI는 총기난사 용의자 파룩이 급진적인 무슬림 사상에 빠졌으며, 전화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당국의 대테러 수사를 받아온 1명 이상과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정황 증거를 잡고 파룩의 행적을 캐고 있다.
파룩은 2003년 성지순례 기간인 하지(Haji)에 수주간 사우디 아라비아에 체류했으며, 지난해 7월에는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온라인 데이팅 사이트를 통해 만난 말리크와 함께 입국했다.
FBI 관계자는 “파룩이 파키스탄을 2차례 방문한 적도 있다”고 밝혔으나, 파룩의가족 변호사들은 파키스탄 방문 사실을 부인했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일부 언론들은 복수의 경찰 관계자들을 인용해 파룩이 명백히 급진화돼왔으며, 이 급진성이 총기난사 사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총기난사범 파룩은 시카고에서 태어난 시민권자로, 독실한 무슬림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룩의 아내 말리크는 파키스탄 출신으로 미국에 파키스탄 여권으로 입국했으며, 입국 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살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게다가 수사당국의 전날 자택 수사에서 파이프 폭탄 12개와 실탄 5천여 발, 폭발물 장치 수백여 개가 발견됐다. 이들이 도주하는 데 이용한 차량에서도 자동소총 2정과 권총 2정, 실탄 1천600여 발이 나왔다.
제러드 버건 샌버나디노 경찰국장은 “범인들은 총기난사 현장에서 65∼75발을 발사했으며, 경찰과의 총격전에서도 최소 70발 이상을 사용했다”면서 “이들은 차 안에 자동소총 실탄 1천400발과 권총 실탄 200발을 보관하고 있었다”고 했다.
수사당국은 그러나 이들이 직장 내 종교갈등으로 범행했을 가능성도 여전히 열어두고 있다.
파룩이 범행 전 샌버나디노 카운티 공중보건과 송년행사에 참석했다가 다른 사람과 논쟁을 하고서 자리를 떴다가 돌아와 범행했고, 2주 전 동료 1명과 ‘종교논쟁’을 했다는 점에서 직장 내 종교갈등이 범행 동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파룩은 직장동료이자 희생자인 니컬러스 탈라시노스(52)와 2주 전 종교 문제로 다퉜다고 AP 통신이 전했다.
탈라시노스의 친구인 쿨림 스티븐스는 “탈라시노스에게 전화를 걸었는데 마침 그는 파룩과 논쟁 중이었다”며 “그는 파룩의 이름을 말하며 ‘파룩은 이슬람이 평화적인 종교라고 믿는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파룩의 직장 동료들도 파룩이 독실한 무슬림이었지만, 직장에서는 거의 종교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볼 수 없었다고 밝혔다.
직장 동료인 그리셀다 라이신저는 “그에게서 광신도라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고(테러와 관련한) 의심도 절대로 하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한편, IS를 지지하는 아마크 통신사는 이날 자체 웹사이트에 “이슬람 무장단체 추종자들이 미국 LA 동부 샌버나디노 시 총기난사 사건을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지난 2일 발생한 이번 총기난사 사건으로 14명이 목숨을 잃었고 21명이 부상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