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27일, 블링컨 부장관 20일에
북 “평화협정 체결 제안 아직 유효”
북 “평화협정 체결 제안 아직 유효”
미국 외교의 총사령탑인 존 케리 국무장관이 27일 중국을 방문한다.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로 예상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앞두고, 미국이 제재 수위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을 상대로 압박과 설득을 병행하며 ‘총력전’을 펼치는 모양새다.
미 국무부는 15일(현지시각) 케리 장관의 27일 중국 방문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토니 블링큰 국무부 부장관이 20~21일 방중해 장예쑤이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과 북핵 문제를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힌 지 하루 만이다. 미국 외교의 총사령탑인 국무장관과 국무부 ‘2인자’인 부장관이 일주일 간격으로 특정 국가를 방문하는 것은 전례가 드문 일이다. 이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전화통화도 이뤄지지 못한 상황에서, 고위급 당국자들을 직접 베이징에 보내 중국의 고강도 대북 제재 참여를 이끌어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케리 장관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한 뒤 베트남·라오스 등을 거쳐 중국을 방문한다. 케리 장관은 방중 과정에서 중국 쪽 파트너인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왕이 외교부장 등을 만나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 방안을 최종 조율하리라 예상된다. 케리 장관이 시 주석을 만날 수 있을지가 관심사인데, 현재 중국 분위기로 볼 때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앞서 한·미·일 3국은 16일 도쿄에서 외교차관협의회를 열어 “강력하고 포괄적인 유엔 안보리 결의를 조속히 채택하는 데 3국의 외교 역량을 결집해나가기로 했다”고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이 밝혔다. 블링큰 부장관은 협의회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남중국해의 분명하고 예측가능하며 구속력 있는 규칙을 정하는 행동강령이 결론을 맺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중국해 분쟁이 최근 잠잠한 데도 블링큰 부장관이 북핵 문제와 직접 관련이 없는 남중국해 문제를 언급한 것은, 대북 제재와 관련해 중국을 압박하는 ‘패’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북한 외무성은 대변인 담화를 내어 “미국의 합동군사연습 중지 대 핵시험 중지 제안과 평화협정 체결 제안을 포함한 모든 제안은 아직 유효하다”고 밝혔다고 16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북한은 담화에서 “핵공격 능력과 핵보복 능력을 백방으로 갖출 것”이라면서도 “올해 우리의 첫째 과업은 경제 발전과 인민생활 향상이며 이를 위해 우리는 정세 안정과 평화적 환경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