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21일 서울 동호로 신라호텔에서 3국 외교장관회의가 끝난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한·미 정부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최근 ‘비핵화·평화협정 동시 협상’을 제안한 것에 대해 “대화를 얘기할 시점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사실상 왕이 부장의 제안을 거부한 것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18일(현지시각)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왕이 부장의 제안에 대한 질문을 받고 “한국이든 미국이든 국제사회 다수가 그럴 거라고 보는데, 지금은 안전보장이사회 추가제재 결의를 도출하는 문제를 포함해 북한의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압박 노력에 힘을 기울일 때”라며 “대화 부분을 얘기할 시점은 아니다라고 하는 인식이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북한이 던지는 도전들에 대해 현재까지 대북정책이 압박과 대화를 두 축으로 끌어왔다면 앞으로 기조는 압박 쪽에 맞춰서 해야겠다는 공감대가 한·미 사이에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북한의 생각과 셈법을 바꾸려면 국제사회의 압박을 통해 북한이 현재의 정책을 계속하는 한 얻을 것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각인시켜야 한다는 게 한·미 양국의 인식”이라고 밝혔다.
그는 안보리에서 논의가 진행 중인 대북 제재 결의안에 대해 “미국과 중국이 본격적인 검토 단계에 들어가 실효성 있는 강력한 제재조처를 도출해내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과거보다는 강력한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보인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사드 배치에 대한 한·미 간 협의가 공식 개시됐다는 입장을 확인한 뒤 “(사드 도입문제는) 안보와 국익의 필요성이 판단기준”이라며 “다른 문제와 연계되거나 조건이 걸려있지 않다”고 밝혔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yyi@hani.co.kr
[관련영상] 나라가 이 모양/ 불타는 감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