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안 채택 직후 발언
“한반도 평화에 반한다”
다자무대서도 쟁점화 ‘여론전’
러시아 대사도 “우려” 동조
“한반도 평화에 반한다”
다자무대서도 쟁점화 ‘여론전’
러시아 대사도 “우려” 동조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무대에서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배치를 반대한다며 공개적으로 미국을 압박했다. 한-중, 미-중간 양자 차원에서뿐 아니라 다자 무대에서까지 사드 문제를 쟁점화해 국제 여론전을 펼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류제이 주 유엔 중국대사는 2일(현지시각) 열린 안보리 전체회의에서 대북 제재 결의 2270호 채택 직후 발언을 통해 “모든 관련 당사국들은 추가적으로 긴장을 악화시킬 수 있는 행동들을 피해야 한다”며 “중국은 사드의 배치를 반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는 “(사드 배치는) 중국과 지역 내 다른 국가들의 전략적 안보 이익을 해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안보 유지라는 목표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탈리 추르킨 주 유엔 러시아 대사도 이날 발언을 통해 “북한의 행동들이 사드와 같은 첨단 무기 시스템(설치)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며, 중국의 사드 비판에 합류했다.
이와 관련해 서맨사 파워 주 유엔 미국대사는 전체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중·러의 발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 “북한의 행동들이 제기하는 극도의 위협 때문에 전례없는 제재 결의를 채택했다”며 “사드 협의를 진행해온 것도 그러한 위협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3일 기자 브리핑에서 한차례 연기된 사드 관련 한·미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 시기에 대해 “지금 한·미가 협의 중에 있고 약정 체결이 결정되면 바로 알려 드리겠다”고 말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박병수 선임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