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정권 인수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트럼프는 대선 당일인 8일 크리스 크리스티 인수위원장(뉴저지 주지사)이 이끄는 정권인수위원회의 계획안을 전달받은 데 이어, 10일에는 백악관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만나 대통령직 인수인계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트럼프가 8일 보고받은 정권 인수 계획에는 주요 장관급 인선 계획과 국내외 주요 정책, 취임 후 100일간의 행정부 운영 계획 등이 담겨 있다고 <시엔엔>(CNN) 방송이 9일(현지시각) 전했다. 미국에서는 대선 직후부터 이듬해 1월 대통령 취임까지를 정권 인수 기간으로 부르는데, 올해는 ‘연방 총무처’ 지원을 받아 73일간 정권 인수 작업이 진행된다. 이 기간 동안 대통령 당선자는 행정부 주요 공직자 4천여명의 인사를 단행하게 된다. 트럼프 인수위는 현재 22개 부서에 80여명의 실무진이 포진해 있는데, 이는 2012년 대선 당시 밋 롬니 공화당 후보가 운영했던 200여명에 견줘 절반 이하로 줄어든 규모다.
트럼프 정권인수위가 제출한 인수 계획에는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해 15개 주요 장관급 인사로 각각 3명씩 추천한 후보군 명단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선거 기간 내내 트럼프의 최측근 참모로 활동해온 크리스티 인수위원장과 루돌프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은 유력한 법무부 장관 후보로 꼽힌다. 백악관에 입성해 트럼프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보좌할 비서실장으로는 코리 루언다우스키 전 선거본부장과 라인스 프리버스 공화당 전국위원회(RNC) 위원장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9일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8년 전 조지 부시 대통령과의 정권 인수인계 경험을 언급하며 “(트럼프 당선인과도) 성공적이고 깔끔한 대통령직 인수인계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는 선거 기간 내내 이민자 규제, 주요 자유무역협정 재협상, ‘오바마 케어’(건강보험개혁법) 폐지 등을 주장하며 오바마 정부의 노선을 부인해왔던 터여서, 정권 인수 작업이 순조롭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캠프에서 활동한 뉴트 깅그리치 전 하원의장은 “첫 100일 동안 트럼프 행정부는 3~5가지의 구조 개혁에 착수할 예정인데, 여기에는 오바마 케어 폐지, 공공기관 개혁, 남부 국경 통제 방안 등이 우선적으로 포함된다”고 밝히며, 정권 초반부터 주요 공약들을 빠르게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