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오른쪽) 미국 국무장관과 류옌둥 중국 부총리가 28일 워싱턴 미 국무부 청사에서 미-중 사회·문화대화를 시작하기 앞서 사진을 찍고 있다. 미 국무부 제공. 워싱턴/EPA 연합
한반도 정세의 긴장국면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30일 중국을 방문한다. 틸러슨 장관은 방중 과정에서 북핵·무역 문제를 둘러싸고 중국을 더욱 몰아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틸러슨 장관은 28일(현지시각) 중국으로 출발하기에 앞서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류옌둥 중국 부총리와의 미-중 간 ‘사회·문화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기자들에게 “(방중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 의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당연히 북한 문제도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중국 쪽 인사들을 만나 북-중 경제의 연결고리 차단을 강하게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수전 손턴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행은 이날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중국이 (대북) 정책 전환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있다”며 “우리는 북한을 일종의 (전략적) 자산으로 바라보는 중국의 입장을 바꾸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을 통한 대북 경제 제재 전략이 먹히고 있다는 판단 아래, 대중 압박 수위를 더욱 높일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은행·기업에 대한 제재 예고 행정명령외에도 중국의 안보 환경을 흔들어 북한을 전략적 부담으로 여기게 만드는 군사적 압박 수단도 병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도 지난 25일 ‘미국 전쟁연구소’ 주최 행사에서 중국이 대북 제재에 협조하지 않으면 한국 및 일본의 군사활동 증강과 “재무장 가능성”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중국 압박을 위해 한·일에 대한 첨단 무기 판매와 한·미·일 3국간 안보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예측불가능한 대중국 강온양면 전략, 한·일의 대북 강경책 합류, 북한의 잇단 전략적 긴장고조 행위, 중국 내부의 정치적 상황 등으로 중국이 미국에 계속 양보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한다. 중국도 무역보다는 북핵 문제를 미국에 대한 ‘양보 카드’로 쓰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이유로 중국이 10월 당대회를 마친 뒤 대미 노선을 공세적으로 전환할 지 여부, 미국의 대북 석유류 공급 전면 중단 요구 강도, 미-중 간 북핵과 무역 문제의 주고받기 전략, 북한의 전략적 긴장고조 여부 등이 트럼프 대통령의 11월 방중으로 변곡점을 맞게 될 한반도 기류에 복합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틸러슨 장관의 이번 방중에서 미-중이 ‘제재 이후 협상 재개 국면’에 대비한 전략 등도 광범위하게 논의될 수 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