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기업인들을 만나 세금 정책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7~8일 한국 방문 기간 동안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 공조를 강조할 것이며, 통상 분야도 한-미 간 주요 정상회담 의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 정부 고위 관계자는 31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사전 설명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8일 한국 국회 연설에서 한-미 간 지속적인 동맹과 우정을 기념하고 대북 압박을 최대화하는 데 국제사회가 동참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중대한 행동 변화가 없는 상황”이라며 “미국 행정부와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시점에서,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 북한과의 직접 대화는 현명하지 않다는 입장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과의 관계를 격하하고 (북한) 이주 노동자를 귀국시키며 북한 정권의 (천연)자원을 거부하도록 다른 나라들을 설득하는 등 여전히 외교를 추구하고 있다”며 “(대북) 외교 공세는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관계자는 “한국에서 경제가 핵심적인 논의 분야”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양국 간 상호 이익과 공정한 대우를 창출하면서 확대되고 균형 잡힌 무역을 육성하기로 이미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점에서 양국은 한-미 양자 무역협정에 대한 우려를 함께 해소하는 것을 포함해 진정으로 ‘공정하고 평평한 운동장’을 육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성사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던 비무장지대(DMZ) 방문과 관련해 이 관계자는 “일정상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디엠지를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초청한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하는 것이 메시지 전달 측면에서 더 의미 있다”며 “캠프 험프리스는 한국 정부가 부담을 공유한 훌륭한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솔직히, 디엠지 방문은 약간 상투적인 것이 돼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헤더 나워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한 협의 결과’에 대해 “한국과 중국이 더욱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된 것을 당연히 환영한다”며 “북한의 위협에 따른 지역 불안정과 세계적 불안정을 고려할 때 지역(안정)에 좋은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드에 대해 미국 입장은 바뀐 것이 없다. 그건 한-미 동맹의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한-중 관계 개선이 북핵 문제 해결이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면서, 사드 배치를 중국이 사실상 수용한 점도 평가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