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이 26일(현지시각) 공개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악수하는 사진. 3월말~4월초 부활절 휴일 동안 CIA 국장으로서 평양을 극비방문한 폼페이오 장관이 김 위원장과 함께 찍은 사진이다. 백악관 자료 사진
"비핵화 '진짜 기회' 있다고 믿어…김정은, 이란 핵합의 유지 여부 신경 안써"
"평화적 해법 위한 외교적 관여…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협상, 눈 부릅뜨고
"평화적 해법 위한 외교적 관여…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협상, 눈 부릅뜨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부활절 주말(지난 3월 31일∼4월 1일) 극비리에 방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났을 당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의 방법론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ABC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것(비핵화)이 어떤 식으로 이뤄질지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메커니즘이 어떤 식의 모습을 갖게 될지에 대해…"라고 말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우리는 그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협상해 나갈 것"이라며 "우리는 비핵화가 달성되리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조치들을 (북한에) 요구해 나갈 계획이다. 우리는 눈을 부릅뜨고 있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한 북한 문제에 대한 외교적 해결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진전을 위한 진짜 기회를 맞았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방북 상황과 관련, "나의 목적은 (비핵화 합의가 가능한지에 대한) 진짜 기회가 있는지를 타진하며 알아보려는 것이었으며, 나는 (진짜 기회가)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민이 더이상 김정은과 그의 핵무기에 의해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평화적 해결책을 찾기 위해 외교적 대화에 관여할 의무를 갖고 있다"며 "진전을 위한 진짜 기회가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이 매우 준비가 잘 돼 있으며 미국의 목적인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어떻게 달성할지에 대해 이야기할 준비가 돼 있었다고 말한 뒤 "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조성한 여건들이 이러한 기회를 제공한 데 대해 희망적"이라고 언급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3명에 대한 석방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김정은이 우리가 비핵화를 달성하도록 지도를 펼쳐줄 준비가 돼 있다. 좋은 대화를 했다"고도 말했으며, 이는 전날 사전 공개된 영상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중동을 순방 중인 폼페이오 장관은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이스라엘로 이동하는 비행기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정은이 이란 핵 합의를 주시하며 '어머나, 그들(미국)이 합의에서 탈퇴한다면 나는 미국과 더는 대화하지 않겠다'라고 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이어 "미국이 이란 핵 합의를 유지할지 말지 보다 그(김정은)가 더 신경 쓰는 다른 우선순위들이 있다"고 전했다.연합뉴스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