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왼쪽)과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3일(현지시각) 치러질 미국 대통령 선거는 50개주와 수도인 워싱턴을 합친 51곳에서 유권자 전체 투표로 선거인단을 뽑고, 선거인단이 해당 주 유권자들이 선택한 후보를 다시 대통령으로 뽑는 형태다. 메인주와 네브래스카주를 제외한 48개주와 워싱턴은 할당된 선거인단 표를 해당 주에서 이긴 후보에게 모두 몰아주는 ‘승자 독식’ 제도를 택한다. 2016년 대선처럼 선거인단이 많이 배정된 주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한 후보가 전국 투표로 따지면 득표율이 높은 후보에게 승리하는 역전이 일어날 수 있다.
통상 미 대선은 선거 당일 자정(미 동부 표준시 기준)이면 당선자 윤곽이 드러나지만, 이번 대선은 관례대로 진행된다는 보장이 없다. 3일 오후 3시 집계 기준으로 사전 투표는 1억116여만표에 이르는 사상 최대 사전투표의 개표를 놓고 큰 진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사전투표는 사전 조기 투표가 3592만여표 그리고 우편 투표가 6524만여표인데, 특히 우편투표가 최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선거 당일까지 도착하지 않은 우편투표를 처리하는 규정이 주마다 다르다. 22개주 및 수도 워싱턴디시는 투표 당일 날짜의 소인이 찍힌 우편투표라면, 투표일 뒤에 도착해도 일정 기간 유효성을 인정한다. 투표 이튿날 정오까지 98%의 비공식 개표를 보고할 수 있는 주는 8곳뿐이라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민주당이나 공화당 성향이 확실한 주에서는 사전투표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펜실베이니아 등 경합주가 문제다. 특히 펜실베이니아는 선거인단이 20명이나 걸려 있는데다,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우세가 4%포인트 안팎이어서 잠정투표나 우편투표의 개표에 따라 승패가 갈릴 가능성이 높다.
펜실베이니아는 309만여명이 우편투표를 신청해 240만명이 회신했고, 70만명이 아직 회신하지 않았다. 회신한 유권자 중 66%가 민주당 등록이고, 23%가 공화당이다. 반면 당일 현장투표에서는 공화당 성향 유권자 비중이 높다. 이를 고려하면 현장투표 개표 초기 트럼프가 우세를 보이다, 우편투표가 개표되면 바이든이 뒤집을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펜실베이니아주 당국 규정은 선거 당일까지의 소인이 찍힌 우편투표가 11월6일까지 도착하면 유효하다고 본다. 공화당 쪽은 선거 당일까지 도착하는 우편투표만 유효성을 인정하라는 소송을 진행 중이고, 연방대법원은 이를 선거 뒤에 심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아이오와, 노스캐롤라이나, 오하이오 등 경합주도 사정이 비슷하다. 이들 경합주가 박빙이라면 최종 개표 결과는 2000년 대선처럼 법정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난 뒤인 새달 14일 선거인단 투표가 치러지고 당선자가 확정된다. 만일 선거인단 투표에서 과반 득표를 한 후보가 없으면, 1800년과 1824년처럼 하원에서 각 주당 1표씩 표를 던져 대통령을 선출한다. 당선된 후보는 내년 1월20일 취임한다. 정의길 선임기자,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