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가 4일(현지시각) 델라웨어주 윌밍턴 체이스센터에서 이번 선거에서 승리를 확신한다는 내용의 연설을 하고 있다. 그는 연설에서 “대통령 당선에 필요한 선거인단 270명에 도달하는 데 충분할 정도로 여러 주에서 우리가 승리하고 있는 게 분명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트럼프 행정부가 4일(현지시각)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탈퇴했다. 곧바로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는 당선되는 즉시 파리협정에 복귀하겠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바이든은 이날 파리협정 공식 탈퇴를 보도한 언론 보도를 인용하면서 “정확히 77일 뒤에 바이든 행정부는 협정에 다시 가입할 것”이라고 적었다. 그가 말한 ‘77일’은 미 대통령 취임식이 열리는 내년 1월20일까지 남은 시간이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국제 협약과 질서를 무시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차별화한 외교정책을 첫 일성으로 내놓은 것으로, 국제사회 리더로서 미국의 역할과 위상을 회복하겠다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파리협정은 가입국들이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아래로 억제하고, 1.5도 이상 오르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은 2015년 이 협정 타결에 주도적 구실을 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다섯달 만에 탈퇴를 선언했다. 지난해부터 탈퇴 절차를 밟아 4일자로 공식 탈퇴했다.
세계 2위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의 파리협정 복귀 절차는 비교적 간단하다. 오바마 행정부는 의회 비준이 아닌 대통령 행정명령을 통해 협정에 참여했다. 바이든 후보가 당선될 경우 취임 첫날 ‘재가입 행정명령’을 내리고 미 국무부가 파리협정 사무국에 재가입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30일 뒤에 공식 복귀가 이뤄진다.
바이든 후보는 공약을 통해 미국이 ‘기후 방화범’에서 ‘기후대응 주도국’으로 변신하겠다고 약속했다. 파리협정에 복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외교는 물론 무역·안보전략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세계가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하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정지원 약속을 이행하고, 임기 첫해에 미국 내에서 화석연료에 지급되는 보조금을 없애 청정에너지 기반 투자로 돌리겠다고 했다. 지난달 한국 정부도 선언했던 ‘2050년 탄소 중립’도 공약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