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정찰기로 미사일 공격…민간인 희생 속출
“해당국 통보 없이 작전하기도…주권침해 행위”
“해당국 통보 없이 작전하기도…주권침해 행위”
미국이 국제적 항의에도 불구하고 때론 해당국의 승인 없이 핵심 테러리스트를 미사일로 ‘표적 살해’하는 극비작전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고 29일 <로스앤젤레스타임스>가 보도했다.
이 ‘표적 살해’ 프로그램에 대해선 거의 알려진 게 없지만, 2001년 9·11 테러 이후 해외의 테러용의자 거점에 최소한 19건의 미사일 타격이 이뤄졌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로 인해 최소한 4명의 고위급 알카에다 간부를 살해했다.
지난달 13일 미 중앙정보국(CIA)이 알카에다 2인자인 아이만 자와히리를 죽이기 위해 파키스탄의 한 건물을 미사일로 타격한 것은 가장 최근의 사례이다. 이 공격으로 어린이와 여자들을 포함해 민간인 18명이 숨졌고, 파키스탄 전역에서 격렬한 반미 시위가 벌어졌다.
또 하나의 대표적 실패사례로는 2002년 2월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접경지역에서 오사마 빈 라덴으로 추정되는 사람을 무인정찰기 ‘프레데터’를 사용해 살해한 게 꼽힌다. 사건 뒤 사망자는 빈 라덴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전직 정보관리들은 <로스앤젤레스타임스> 인터뷰에서 “미 중앙정보국과 국방부의 ‘표적 살해’ 작전이 펼쳐지는 나라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소말리아, 모로코, 인도네시아 등 10여개 국가에 이른다”며 “대부분 해당국의 승인을 얻지만 몇몇 나라에선 일체의 사전통보 없이 작전이 실행된다”고 밝혔다.
이 작전은 국제적으로 주권침해 논란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미 국내적으로도 합법성 논란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제럴드 포드와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1976년과 1981년에 미 정보기관이 외국 요인 살해에 개입하는 걸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조지 부시 행정부는 “9·11 이후 대통령은 의회로부터 미국을 테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논리로 계속 ‘표적 살해’ 작전을 실행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 작전엔 주로 미사일을 장착한 무인정찰기 ‘프레데터’가 활용되고 있다. 지난달 13일 파키스탄 마을을 기습한 것도 프레데터였다. 기체 길이 8.2m에 날개 폭이 14.8m인 프레데터는 7천5백m 상공으로 비행하며 정찰을 하다, 목표물이 확인되면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해 파괴한다. 때론 목표물이 완전히 파괴돼 누가 죽었는지, 몇명이나 죽었는지 알 수가 없다. 일부는 차량폭발과 같은 사고로 위장될 수도 있다고 한다.
미 중앙정보국과 국방부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접경에 수십대의 프레데터를 배치해 놓고 있다. 표적 살해를 위한 프레데터는 종종 미 본토의 관제본부에 의해 조종되기도 한다고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덧붙였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