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제 입법 문제로 정파 간 불화 심화
이라크 정치권이 26일 연방제 입법안을 논의하기 시작한 가운데 곳곳에서 종파 분쟁으로 추정되는 살육극이 계속됐다.
AP 통신은 이날 무장괴한들이 바그다드 서부 지역의 수니파 사원 2곳과 민가를 차례로 공격했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자체방어에 나선 주민들이 괴한들과 총격전을 벌여 최소 3명이 죽고 15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부상한 괴한들을 체포해 조사한 결과 시아파 지도자 무크타다 알-사드르의 민병조직인 알-마흐디 요원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날 공격이 종파 간 분쟁에서 비롯된 보복극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바그다드에서 하루 동안 총살당한 변사체 23구가 발견됐고, 바그다드 남쪽의 마흐무디야에 있는 시아파 밀집 거주 아파트에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발이 일어나 최소 7명이 죽고 11명이 부상했다.
치안혼란 속에서 연방제 입법을 둘러싼 정파 간 내분도 깊어지고 있다. 수니파 정당인 이라크화합전선(IAF) 소속 의원인 다흐피르 알-아니 헌법 개정 특위 위원장은 이날 시아파 정치블록인 통합이라크연맹(UIA)이 주도하는 의회의 연방제 입법안 심의에 반발해 특위 위원장 자리를 사퇴했다. 알-아니 의원은 연방제 입법 논의는 치안불안과 유혈사태를 가중시킬 것이라며 이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알-아니 의원은 의회에 진출한 수니파 2개 정당 가운데 시아파와 쿠르드족의 연방제 입법 추진을 지지했던 IAF 소속이라는 점에서 그의 움직임이 주목을 끌고 있다. 다른 수니파 정당인 이라크 국민대화전선은 25일 공식 출범한 헌법 개정 특위 가동을 전제로 시아파와 쿠르드족의 연방제 입법 움직임을 지지해 준 IAF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날 연방제 입법안을 의회에 제출한 UIA는 법안 문구 심의 절차를 거쳐 내달 5일께 표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법안을 둘러싼 수니-시아ㆍ쿠르드족 정파 및 수니ㆍ수니 정파 간의 불화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IAF 소속인 압둘 나세르 알-자나비 의원도 의회 발언을 통해 "연방제 법은 이라크의 분열을 야기할 것"이라며 IAF가 반역행위를 저질렀다고 지도부를 강력히 비난했다. 그러나 IAF 지도부는 법안 통과 후 1년6개월 후 시행하기로 사전 합의된 연방제를 헌법 개정을 통해 백지화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헌법 개정 특위의 정상 가동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쿠르드족 학살 사건을 맡은 특별재판부는 26일 속개한 심리에서 재판부에 도전적 태도를 보인 후세인 등 피고인 7명 전원에게 강제퇴정을 명령한 뒤 다음 재판을 내달 9일 열기로 하고 휴정했다. http://blog.yonhapnews.co.kr/medium90/ 박세진 특파원 parksj@yna.co.kr (카이로=연합뉴스)
치안혼란 속에서 연방제 입법을 둘러싼 정파 간 내분도 깊어지고 있다. 수니파 정당인 이라크화합전선(IAF) 소속 의원인 다흐피르 알-아니 헌법 개정 특위 위원장은 이날 시아파 정치블록인 통합이라크연맹(UIA)이 주도하는 의회의 연방제 입법안 심의에 반발해 특위 위원장 자리를 사퇴했다. 알-아니 의원은 연방제 입법 논의는 치안불안과 유혈사태를 가중시킬 것이라며 이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알-아니 의원은 의회에 진출한 수니파 2개 정당 가운데 시아파와 쿠르드족의 연방제 입법 추진을 지지했던 IAF 소속이라는 점에서 그의 움직임이 주목을 끌고 있다. 다른 수니파 정당인 이라크 국민대화전선은 25일 공식 출범한 헌법 개정 특위 가동을 전제로 시아파와 쿠르드족의 연방제 입법 움직임을 지지해 준 IAF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날 연방제 입법안을 의회에 제출한 UIA는 법안 문구 심의 절차를 거쳐 내달 5일께 표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법안을 둘러싼 수니-시아ㆍ쿠르드족 정파 및 수니ㆍ수니 정파 간의 불화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IAF 소속인 압둘 나세르 알-자나비 의원도 의회 발언을 통해 "연방제 법은 이라크의 분열을 야기할 것"이라며 IAF가 반역행위를 저질렀다고 지도부를 강력히 비난했다. 그러나 IAF 지도부는 법안 통과 후 1년6개월 후 시행하기로 사전 합의된 연방제를 헌법 개정을 통해 백지화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헌법 개정 특위의 정상 가동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쿠르드족 학살 사건을 맡은 특별재판부는 26일 속개한 심리에서 재판부에 도전적 태도를 보인 후세인 등 피고인 7명 전원에게 강제퇴정을 명령한 뒤 다음 재판을 내달 9일 열기로 하고 휴정했다. http://blog.yonhapnews.co.kr/medium90/ 박세진 특파원 parksj@yna.co.kr (카이로=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