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말리키 화상회담...이번주 저항세력 소탕작전
미국 정부가 이라크주둔 미군을 증원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라크 정부가 이에 불편한 심기를 표시하는 등 견해차를 드러내고 있다.
누리 알-말리키 이라크 총리는 5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2시간에 걸친 화상회담으로 의견을 나누면서 이라크 주둔 미군 증원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여러번 표시했다고 총리의 최측근인 사미 알-아스카리가 6일 전했다.
그는 알-말리키 총리가 폭력사태 제압을 위해 바그다드에 미군 9천명을 증원한다는 보도에 대해 "이라크 고위 군장성들과 의논해봐야 한다"라며 마지 못해 받아들이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여름 바그다드의 폭력사태가 격화하자 미군과 이라크군이 이 곳에 병력 1만2천명을 증파했지만 오히려 미군 사망자만 늘어나는 등 작전이 실패로 끝났음을 알-말리키 총리가 염두에 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알-말리키 총리는 회담에서 이라크군이 올해 여름까지 치안 유지권을 넘겨받을 준비가 될 것이기 때문에 미군이 바그다드 외곽으로 신속히 철수하기를 부시 대통령에게 요구했다고 알-아스카리는 전했다.
알-말리키 총리는 또 반미 강경 시아파 종교지도자인 무크타다 알-사드르가 이끄는 마흐디 민병대를 해체하라는 미국의 `압력성' 요구를 반복해 거절했다.
미국은 마흐디 민병대를 폭력사태의 배후에 있는 테러집단으로 보는 반면 알-말리키 총리로선 자신의 정권을 유지하는 핵심 군사조직이기 때문에 해체를 거부하고 있다.
양국 정상은 그러나 이라크 정부가 미군과 함께 다음주부터 폭력사태의 주범인 바그다드의 무장세력 소탕작전을 개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 소탕작전의 범위와 강도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라크와 미국이 민병조직 해체를 둘러싸고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전이 얼마나 성과를 거둘지는 불투명하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이 소탕작전의 범위와 강도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라크와 미국이 민병조직 해체를 둘러싸고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전이 얼마나 성과를 거둘지는 불투명하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