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단교 이래 외교무대에서 공식 접촉이 없었던 이란과 미국이 27년만에 회담 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이라크 주재 라이언 크로커 미 대사와 하산 카제미 이란 대사는 28일 오전 10시30분께(현지시간) 이라크 바그다드의 미군 특별 경계구역인 `그린존'내 총리공관에서 만나 이라크 폭력사태 해결을 논의중이다.
그러나 이란 핵문제와 자국민 억류사건 등 다른 의제는 논의하지 않는 다는 게 양측의 입장이다.
누리 알-말리키 이라크 총리는 회담에 앞서 양측 대사에게 "이라크는 외국 군대나 간섭없는 안정된 나라가 되길 바란다"며 "이라크가 테러세력의 기지가 되지 말아야 하며 이라크 주둔 미군은 이라크 군경 재건을 도와줄 뿐이지 이웃나라를 공격하는 전초기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라크에선 국가안보자문 모와파크 알-루바이에가 대표로 참석했다.
이날 회담은 비공개로 진행중이며 크로커 대사가 회담 뒤 기자회견을 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국제회의에서 양자 회담 기회가 번번히 무산된 양국이 이날 `역사적'인 회담을 열었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이란 마뉴셰르 모타키 외무장관은 이날 "미국이 자신의 중동 정책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향후 이 회담이 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 최고자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도 지난주 "이번 회담은 단지 미국이 점령자로서 이라크에 대한 책임을 각인시키는 기회일 뿐"이라며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아울러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어기고 핵 활동을 지속했고 양국이 상대 국민을 장기간 억류하는 상황이어서 극적인 외교적 해법을 기대하긴 어렵다. 크로커 미 대사도 "어떤 놀랍고 획기적인 성과를 기대하지 않는다"며 "이제 첫 만남이 시작됐고 어떻게 일이 진행될 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미국 관리들 역시 미국이 이번 회담을 통해 이라크의 폭력사태를 줄이기 위한 진전된 움직임을 보이라는 압력을 이란에 넣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이란 마뉴셰르 모타키 외무장관은 이날 "미국이 자신의 중동 정책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향후 이 회담이 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 최고자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도 지난주 "이번 회담은 단지 미국이 점령자로서 이라크에 대한 책임을 각인시키는 기회일 뿐"이라며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아울러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어기고 핵 활동을 지속했고 양국이 상대 국민을 장기간 억류하는 상황이어서 극적인 외교적 해법을 기대하긴 어렵다. 크로커 미 대사도 "어떤 놀랍고 획기적인 성과를 기대하지 않는다"며 "이제 첫 만남이 시작됐고 어떻게 일이 진행될 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미국 관리들 역시 미국이 이번 회담을 통해 이라크의 폭력사태를 줄이기 위한 진전된 움직임을 보이라는 압력을 이란에 넣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