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에서 피랍된 23인의 한국인을 안전하게 석방하기 위해 정부당국자가 아프간 현지에서 여러 채널을 통해 협상중인 가운데, 22일 늦은 밤(한국시간) 탈레반 조직의 홈페이지로 추정되는 ‘성전의 목소리’ 웹페이지 뉴스란에 23명의 인질에 대한 협상시한을 24시간 연장한다는 안내문이 올라와 있다.(서울=연합뉴스)
탈레반 웹사이트 통해 발표…23일 오후 11시30분
탈레반 대변인 “결과를 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국 협상팀 카불 도착…부족원로와 협상 시작”
탈레반 대변인 “결과를 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국 협상팀 카불 도착…부족원로와 협상 시작”
한국인을 납치한 탈레반 반군 쪽이 동료 수감자들의 석방을 요구한 가운데 정부는 22일 협상시한을 연장하며 본격적인 교섭에 들어갔다.
탈레반쪽은 이날 오후 7시(한국시각 오후 11시30분)로 정한 피납된 한국인과 수감된 동료들과의 맞교환 요구 시한을 24시간 연장한다고 자신들의 인터넷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했다. 탈레반 대변인 카리 유수프 아마디는 이 웹사이트에 성명을 내고 “한국 협상팀이 카불에 도착해서 부족 원로와 종교 지도자들을 통해 석방협상을 시작했다”며 “이슬람에미리트 지도부는 협상시한을 24시간 연장하며 결과를 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탈레반 지역 지휘관인 압둘라 잔의 대변인은 “석방 요구 대상 수감자 명단이 완성됐다”며 “이 명단은 정부쪽에 건네질 것"이라고 말했다고 <아프간 이슬라믹 프레스>(AIP) 통신이 보도했다.
협상시한 연장과 관련해, 정부의 고위 당국자는 “당장 급박한 일이 생길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급박한 상황은 지나갔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그는 “시한을 길게 늘려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해, 협상이 길어질 수 있음을 드러냈다. 앞서 조희용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현재 무장단체와 몇몇 경로로 접촉이 이뤄지고 있으며, 상황이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라주딘 파탄 가즈니 주지사는 <로이터> 통신에 “아프간 정부 대표단이 석방 노력의 일환으로 이날 한국인들이 납치된 가즈니주 카라바그 부족 원로들과 대화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알자지라> 방송도 “탈레반 대변인은 현재 아프간 정부와 직접 협상을 하고 있지는 않으며, 정부와 협상하는 부족 원로들과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아프간 국방부는 이날 아프간군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군 등이 피랍사건이 발생한 지역에서 공동 작전을 개시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모하마드 자히르 아지미 아프간군 대변인은 성명에서 “아직 어떤 전투나 교전이 벌어지지는 않았다”며 “우리는 한국 정부 대표단의 의견을 들은 뒤 움직일 것이다. 그러나 작전의 1단계는 시작됐다”고 말했다. <알지자라>는 카불-칸다하르 도로에서 병력이 이동하는 장면을 방송하면서, 한국인 인질이 억류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미군 수송차량 험비 10대가 배치되는 등 병력이 구축됐고, 전면적인 구출작전은 협상에 시간을 주기 위해 유보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탈레반 대변인은 구출작전에 전개될 경우 인질들을 죽이겠다고 말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이에 대해 자히르 무라드 아프간 국방부 대변인은 “전산 오류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성명 발표를 부인했다. 정부 당국자도 “아프가니스탄에서 납치된 한국인을 구출하기 위한 군사작전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21일 아마디는 “22일 오후 7시까지 탈레반 수감자들을 풀어주지 않을 경우 이후 벌어지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한국과 아프간 정부가 져야 한다”며 탈레반 평의회 성명을 전하면서 수감중인 탈레반 대원 23명과 맞교환하자고 제안했다. 성명은 “탈레반이 한국 정부가 연말까지 아프간에서 군대를 철수시킬 것을 촉구했다”고 밝혀, 애초 제시했던 21일 정오(한국시각 오후 4시30분)까지의 철군 시한을 수정했다.
조중표 외교부 제1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대표단은 이날 오후 아프간 현지에 도착해 협상에 들어갔다. 외신종합,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서울 서초동 한민족복지재단 사무실에 모인 아프가니스탄 피랍자 가족 중 한 명이 22일 밤 11시30분께 뉴스를 통해 협상시한 연장 소식을 접하고 안도하는 표정으로 다른 가족한테 이를 알리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아프간 국방부는 이날 아프간군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군 등이 피랍사건이 발생한 지역에서 공동 작전을 개시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모하마드 자히르 아지미 아프간군 대변인은 성명에서 “아직 어떤 전투나 교전이 벌어지지는 않았다”며 “우리는 한국 정부 대표단의 의견을 들은 뒤 움직일 것이다. 그러나 작전의 1단계는 시작됐다”고 말했다. <알지자라>는 카불-칸다하르 도로에서 병력이 이동하는 장면을 방송하면서, 한국인 인질이 억류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미군 수송차량 험비 10대가 배치되는 등 병력이 구축됐고, 전면적인 구출작전은 협상에 시간을 주기 위해 유보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탈레반 대변인은 구출작전에 전개될 경우 인질들을 죽이겠다고 말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이에 대해 자히르 무라드 아프간 국방부 대변인은 “전산 오류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성명 발표를 부인했다. 정부 당국자도 “아프가니스탄에서 납치된 한국인을 구출하기 위한 군사작전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21일 아마디는 “22일 오후 7시까지 탈레반 수감자들을 풀어주지 않을 경우 이후 벌어지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한국과 아프간 정부가 져야 한다”며 탈레반 평의회 성명을 전하면서 수감중인 탈레반 대원 23명과 맞교환하자고 제안했다. 성명은 “탈레반이 한국 정부가 연말까지 아프간에서 군대를 철수시킬 것을 촉구했다”고 밝혀, 애초 제시했던 21일 정오(한국시각 오후 4시30분)까지의 철군 시한을 수정했다.
조중표 외교부 제1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대표단은 이날 오후 아프간 현지에 도착해 협상에 들어갔다. 외신종합,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