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보다는 ‘접촉’ 표현이 사실에 가까워”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사태 해결을 위해 우리 정부 협상단과 납치단체간 `대면협상'이 유력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대면협상' 추진 여부에 대해 청와대가 `긍정도 부정도 아닌' 모호성을 유지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에서 납치단체와의 직접 대면협상을 묻는 잇따른 질문에 대해 "접촉 방식은 말할 수 없다", "접촉의 구체적 수준과 방식, 시기를 말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적극적으로 확인하는 답변을 피했다.
납치단체쪽이 전날부터 한국정부와의 직접 대면협상을 원한다며 구체적인 협상 일정을 잡고 있다는 뜻을 밝히고 있는 것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탈레반 대변인을 자처하는 카리 유수프 아마디는 전날 연합뉴스와의 간접통화에서 "우리는 한국 정부와 직접 대면협상을 하기를 원한다"고 말했고, AFP 통화에서 "한국 및 아프간 정부와 접촉 중이며 협상을 정확히 언제, 어디서 열 지 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한국인 피랍자들의 억류된 아프간 가즈니주의 탈레반 사령관 물라 사비르 나시르는 미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관리들과 대면협상 일정을 잡고 있으며, 수일내에 이뤄질 것 같다"고도 밝혔다.
일본 요미우리(讀賣) 신문도 이날 강성주 아프간 주재 한국 대사가 탈레반측과 접화접촉을 통해 직접협상 일정을 잡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외신 보도를 통해 들어오는 아프간 현지 상황은 우리 정부와 무장세력 간 대면협상 쪽에 무게가 실려있지만, 정부는 납치단체와의 '직접접촉'을 벌이고 있다는 사실은 시인했으나, '대면협상'에 대해서는 굳게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다. 천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직접접촉에 대면협상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처럼 대면협상에 대해 `NCND'(Neither Confirm Nor Deny.긍정도 부정도 아님)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은 우선 납치세력과의 대면협상이 `테러단체와 타협하지 않는다'는 국제사회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또 협상 테이블이 아직까지 마련되지 않은 데다 납치세력의 요구사항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고 협상장소를 놓고 신경전을 벌인다는 외신보도에서 보듯이 대면협상의 절차와 방식을 둘러싼 일정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도 고려사항이다. 이와 함께 납치세력과의 직접 대면협상을 벌인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피랍자 석방으로 이어진다고 담보할 수 없고, 납치세력의 무리한 요구 등으로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천 대변인이 '접촉이냐 협상이냐'는 질문에 "접촉과 협상 중 `접촉'이라는 표현이 사실에 가깝고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일정하게 구분을 시도한 것도 이같은 맥락이라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피랍자 21명의 석방 노력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정부로서는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 무장세력 간 불신으로 꽉 막혀있는 석방교섭의 활로를 마련해야 하는 절박성 때문에 결국 직접협상에 임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와 관련, 천호선 대변인이 "납치단체에 대한 직접접촉이 전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면서 "국제사회의 원칙과 배치보다는 유연하게 적용하는 차원이라는 게 우리 입장"이라고 밝힌 것은 주목되는 대목이다. 이는 지금껏 피랍자 석방협상의 발목을 잡아왔던 `테러단체와의 불타협' 원칙이 유연하게 적용된 사례가 많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난 3월 탈레반에 의해 납치됐던 이탈리아 일간 라 레푸블리카의 대니얼 마스트로쟈코모 기자가 풀려날 때 아프간 정부는 3~5명의 탈레반 수감자를 풀어준 전례가 있다. 또 지난해 1월 미국 일간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CSM)의 질 캐럴 기자가 이라크에서 납치된 지 20일 남짓 지났을 때 미군 당국은 테러 등의 혐의로 억류됐던 이라크인 400여 명을 석방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탈레반 무장세력과 대면협상을 하더라도 아프간 정부를 배제한 양자접촉은 피할 것이 확실시된다. 정부 관계자는 "피랍사태의 해법은 결국 아프간 정부가 결정해야 할 문제이며 모든 관련국들이 협력해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하는 게 우리 정부의 역할"이라며 "우리는 어떤 경우에도 아프간 정부를 배제한 상태에서 협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면협상을 하게 되더라도 아프간 정부 협상단이 참여하거나 아프간 정부와의 긴밀한 교감이 이뤄진 가운데 우리 정부와 납치단체가 만나는 방안이 유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종우 기자 jongwo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처럼 외신 보도를 통해 들어오는 아프간 현지 상황은 우리 정부와 무장세력 간 대면협상 쪽에 무게가 실려있지만, 정부는 납치단체와의 '직접접촉'을 벌이고 있다는 사실은 시인했으나, '대면협상'에 대해서는 굳게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다. 천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직접접촉에 대면협상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처럼 대면협상에 대해 `NCND'(Neither Confirm Nor Deny.긍정도 부정도 아님)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은 우선 납치세력과의 대면협상이 `테러단체와 타협하지 않는다'는 국제사회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또 협상 테이블이 아직까지 마련되지 않은 데다 납치세력의 요구사항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고 협상장소를 놓고 신경전을 벌인다는 외신보도에서 보듯이 대면협상의 절차와 방식을 둘러싼 일정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도 고려사항이다. 이와 함께 납치세력과의 직접 대면협상을 벌인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피랍자 석방으로 이어진다고 담보할 수 없고, 납치세력의 무리한 요구 등으로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천 대변인이 '접촉이냐 협상이냐'는 질문에 "접촉과 협상 중 `접촉'이라는 표현이 사실에 가깝고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일정하게 구분을 시도한 것도 이같은 맥락이라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피랍자 21명의 석방 노력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정부로서는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 무장세력 간 불신으로 꽉 막혀있는 석방교섭의 활로를 마련해야 하는 절박성 때문에 결국 직접협상에 임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와 관련, 천호선 대변인이 "납치단체에 대한 직접접촉이 전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면서 "국제사회의 원칙과 배치보다는 유연하게 적용하는 차원이라는 게 우리 입장"이라고 밝힌 것은 주목되는 대목이다. 이는 지금껏 피랍자 석방협상의 발목을 잡아왔던 `테러단체와의 불타협' 원칙이 유연하게 적용된 사례가 많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난 3월 탈레반에 의해 납치됐던 이탈리아 일간 라 레푸블리카의 대니얼 마스트로쟈코모 기자가 풀려날 때 아프간 정부는 3~5명의 탈레반 수감자를 풀어준 전례가 있다. 또 지난해 1월 미국 일간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CSM)의 질 캐럴 기자가 이라크에서 납치된 지 20일 남짓 지났을 때 미군 당국은 테러 등의 혐의로 억류됐던 이라크인 400여 명을 석방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탈레반 무장세력과 대면협상을 하더라도 아프간 정부를 배제한 양자접촉은 피할 것이 확실시된다. 정부 관계자는 "피랍사태의 해법은 결국 아프간 정부가 결정해야 할 문제이며 모든 관련국들이 협력해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하는 게 우리 정부의 역할"이라며 "우리는 어떤 경우에도 아프간 정부를 배제한 상태에서 협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면협상을 하게 되더라도 아프간 정부 협상단이 참여하거나 아프간 정부와의 긴밀한 교감이 이뤄진 가운데 우리 정부와 납치단체가 만나는 방안이 유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종우 기자 jongwo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