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통화서 “빨리 구해달라” 절규
탈레반이 피랍 사건 9일만인 지난 달 26일 처음으로 미 CBS방송을 통해 임현주(32.아프간 현지 가이드) 씨의 육성을 내보낸 뒤
이어 4일에는 AFP통신을 통해 또 다른 여성 인질의 '구명' 호소 내용을 공개했다.
또 4, 5일 잇따라 연합뉴스의 현지 소식통과 전화를 연결, 탈레반의 손에서 하루 빨리 구해달라는 안타까운 음성을 한국에 전달했다.
탈레반은 앞서 지난 달 28일과 30일에도 국내외 언론을 통해 각각 유정화(39) 씨와 이지영(36) 씨의 절박한 육성을 공개한 바 있다.
탈레반측의 네번째 '통화 주선' 주인공으로 이날 AFP통신 기자와 통화한 '싱 조-힌(Sing Jo-hin)'이라는 이 여성은 "저들은 우리를 죽이겠다고 협박해요. 죽고 싶지 않아요"라며 울먹이며 한국과 아프간 정부는 물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교황 베네딕토 16세에게까지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연합뉴스 소식통과 통화한 여성은 자신을 `현주'(듣기에 따라 `선주)라고 밝혔으며 "탈레반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여 우리를 구해달라"며 역시 교황과 유엔과 반기문 총장 등에게 구명을 요청했다.
전문가들은 탈레반측이 이처럼 연약한 여성 인질만을 골라 수 일 간격으로 언론과 통화를 주선한 것과 관련, 수 일째 교착상태를 보여온 인질협상을 가속화하고 섣불리 구출작전에 나서지 못하도록 심리전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유정화 씨와 로이터 통신의 전화 인터뷰 내용을 음성과 함께 내보낸 다음날인 지난 달 29일에도 일본의 한 방송사를 통해 인질 2명의 음성이 담긴 인터뷰를 내보냈던 것으로 앞서 보도된 바 있다.
특히 이날 AFP통신과 통화한 이 여성이 '죽고 싶지 않다'며 극도로 불안한 심경을 밝힌 것은 한국인들의 뇌리에 생생히 남아 있는 김선일 씨의 '최후의 모습'을 연상시켜주면서 한국과 아프간 등에 압박을 가하려는 탈레반측의 의도로도 풀이가 가능하다. 이라크 무장단체는 지난 2004년 6월 현지에서 김선일 씨를 납치해 처참하게 살해하기 전 촬영한 "죽기 싫다"는 내용의 간절한 육성과 절박한 모습이 담긴 비디오를 공개해 충격을 준 바 있다. 또, 이 여성이 '전쟁'(구출 작전)이 개시되면 진짜 위험에 처하게 된다"며 군사작전을 경고하고 나선 것은 인질협상이 수 일 째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5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아프간 정상회담과 한국측과의 대면협상을 앞두고 관련 국가들에 심리적인 압박을 한층 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반복적으로 `탈레반의 요구사항을 들어달라'고 극도로 불안에 떨고 있는 여성인질의 입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대외에 전달함으로써 한국 정부로 하여금 아프간 정부를 더욱 압박하도록 하고 이를 듣는 한국 내 여론을 `탈레반의 요구를 들어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라'는 방향으로 몰고 가려는 의도로도 풀이된다. 워싱턴 포스트는 4일 카르자이-부시 정상회담에서 인질문제가 가장 시급한 의제가 될 것으로 보도했다. 탈레반측은 미국과 아프간이 한국 정부의 반대 입장에도 불구 강력한 구출작전 의지를 내비치자 기존의 요구 사항을 완화하는 등 구출작전 가능성에 몹시 긴장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들도 제기돼왔다. 한편 샘물교회의 한 관계자는 4일 새벽 `싱 조-힌'이라고 신원을 밝힌 인질에 대한 연합뉴스의 이름 확인 요청에 대해 그가 샘물교회 소속이 아닌데다 아프간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현지에서 합류한 3명중 한 명으로 추정했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특히 이날 AFP통신과 통화한 이 여성이 '죽고 싶지 않다'며 극도로 불안한 심경을 밝힌 것은 한국인들의 뇌리에 생생히 남아 있는 김선일 씨의 '최후의 모습'을 연상시켜주면서 한국과 아프간 등에 압박을 가하려는 탈레반측의 의도로도 풀이가 가능하다. 이라크 무장단체는 지난 2004년 6월 현지에서 김선일 씨를 납치해 처참하게 살해하기 전 촬영한 "죽기 싫다"는 내용의 간절한 육성과 절박한 모습이 담긴 비디오를 공개해 충격을 준 바 있다. 또, 이 여성이 '전쟁'(구출 작전)이 개시되면 진짜 위험에 처하게 된다"며 군사작전을 경고하고 나선 것은 인질협상이 수 일 째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5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아프간 정상회담과 한국측과의 대면협상을 앞두고 관련 국가들에 심리적인 압박을 한층 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반복적으로 `탈레반의 요구사항을 들어달라'고 극도로 불안에 떨고 있는 여성인질의 입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대외에 전달함으로써 한국 정부로 하여금 아프간 정부를 더욱 압박하도록 하고 이를 듣는 한국 내 여론을 `탈레반의 요구를 들어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라'는 방향으로 몰고 가려는 의도로도 풀이된다. 워싱턴 포스트는 4일 카르자이-부시 정상회담에서 인질문제가 가장 시급한 의제가 될 것으로 보도했다. 탈레반측은 미국과 아프간이 한국 정부의 반대 입장에도 불구 강력한 구출작전 의지를 내비치자 기존의 요구 사항을 완화하는 등 구출작전 가능성에 몹시 긴장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들도 제기돼왔다. 한편 샘물교회의 한 관계자는 4일 새벽 `싱 조-힌'이라고 신원을 밝힌 인질에 대한 연합뉴스의 이름 확인 요청에 대해 그가 샘물교회 소속이 아닌데다 아프간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현지에서 합류한 3명중 한 명으로 추정했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