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에게 납치됐다 우선 석방되었던 김경자(왼쪽)씨와 김지나씨가 4일 오후 경기 안양 샘안양병원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안양/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김지나·김경자씨 국내언론과 첫 기자회견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에 납치됐다 가장 먼저 석방된 김지나(32)·김경자(37)씨는 4일 오후 4시께 경기 안양 샘안양병원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책임을 져야 하는 부분이 있다고는 생각하지만, 짧은 시간에 생각을 정리하기는 무리”라고 말했다.
김지나씨는 “억류된 동안 눈을 뜨고 서로 대화하듯 기도를 했고 눈에 띄는 종교활동을 하지 않았다”며 “탈레반들이 크게 종교활동 같은 것에 불쾌감을 표시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개종 강요에 대해서는 “통역해 준 사람이 ‘무슬림이라면 풀어줄 수도 있는데 …’라는 이야기를 했다고 전해줬다”며 “종교를 강요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김경자씨에게 석방을 양보했던 이지영씨의 메모 전달 과정에 대해 김경자씨는 “탈레반이 ‘마더, 브라더’ 등의 짧은 영어와 몸짓으로 메모지를 내밀며 지영이에게 쓰라고 했다”며 “지영이는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썼고, ‘어머니 마음만 아플 테니 전해주지는 말라’고 했다”고 전했다. 김지나씨는 “한국으로 돌아온 뒤 부산에서 지영 언니의 어머니가 올라오셨다고 해, 글씨라도 보시면 반가워하실 것 같아 전해드렸다”고 말했다. 홀어머니를 둔 이씨가 쪽지에 ‘부모님께’라고 쓴 것은 “내용이 짧다고 탈레반이 다그쳐 얼떨결에 덧붙인 것”이라고 김씨는 전했다.
그는 심성민씨가 살해된 상황과 관련해 “지난달 30일 현지 시각으로 저녁 7시께 탈레반이 허락해 산책을 하고 있었는데, 탈레반이 와서 성민이 이름을 불러서 데려갔다”고 전했다. 그는 “탈레반이 ‘한국으로 간다’고 했다”고 당시 상황을 기억했다.
안양/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