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중국언론 <상>
중국 당국의 인터넷 검열이 세계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미국 의회에선 15일 이에 대한 청문회가 시작됐다. 중국 당국은 언론을 여전히 통치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기고 있지만, 중국 언론계에도 개방화와 자유화의 물결이 닥치고 있다. 기로에 선 중국 언론의 현실을 두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사이트 봉쇄·검열해도
인터넷으로 비판 확산 언론정간·기자해직에
파업·항의도 물밀듯 2003년 가을 ‘사스’ 만연 사태를 보도해 중국 당국에 ‘미운털’이 박혔던 <남방도시보>의 편집장 등 언론인들이 해직·구속당했을 때 중국 대륙은 적막강산이었다. 2004년 가을 중국 당국이 베이징대학의 인터넷 자유토론방 ‘이타후투’를 폐쇄했을 때는 교수 한 사람의 공개서한이 항의의 전부였다. 그러나 최근엔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지난해 세밑 중국 당국이 <신경보>의 양빈 편집국장과 두 명의 부국장을 해직하자, 100여명의 <신경보> 기자들은 파업으로 맞섰다. 지난달 24일 당국이 다시 중국공산청년단 기관지 <중국청년보>의 주말부록 <빙점>에 정간 조처를 내렸을 때 양상은 또 달라졌다. 리다퉁 <빙점> 편집장은 곧바로 ‘공개서한’을 인터넷에 띄워 당국을 맹비난한 데 이어, 지난 6일엔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에 중앙선전부를 제소했다. 기자 파업과 중선부 제소는 중국 언론사에서 유례없는 일이었다. 언론탄압 항의 확산=<빙점> 정간 사태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14일 홍콩 <명보>는 지난 2일 마오쩌둥 전 주석의 비서를 지낸 리루이 등 중국공산당 원로 13명이 <빙점> 정간에 항의해 연대 서명한 뒤 발표한 성명의 전문을 공개했다. 리루이 등 원로들은 성명을 통해 △<빙점> 정간 사건에 대한 중선부의 서면보고 △‘검열비평소조’ 해체 △<빙점> 복간과 사후보복 금지 △‘언론보호법’ 제정 및 모든 언론통제·악법 폐지 등 언론자유를 위한 전면적인 조처를 강도 높게 요구했다. 성명에는 당 원로 간부로 존경받는 후지웨이 전 인민일보사 사장도 참여했다. 최근의 사태는 달라진 중국 언론계의 분위기를 대변한다. 지난 8일 해직당한 <공익시보>의 천제런 편집국장도 10일 인터넷에 공개서한을 발표해 당국의 부당한 조처를 비판했다. 중국공산청년단의 고위층에서는 사태 확산을 막으려고 <빙점>의 조기 복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통제망 사실상 붕괴=최근의 사태 변화는 ‘철통’ 같다는 말이 어울리는 중국 당국의 언론통제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비판적 정보가 크게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런 사태의 배경이다. 중국 당국은 ‘건전하지 않은 내용’, ‘사회 안정에 불리한 내용’을 담은 사이트를 제한한다는 이유로 인터넷 언론을 봉쇄해왔다. 이에 청년 지식인들은 당국과 숨바꼭질이라도 하듯 사설 토론방과 블로그 이곳저곳을 오가며 당국의 검열망을 흔들어왔다.
최근 중국 지식인 사회에서 크게 번지는 울트라리치, 프리게이트, 가든네트워크 등 중국 당국의 인터넷 검열망을 피해 외국의 서버에 연결시키는 프로그램의 확산으로 중국의 언론통제는 사실상 붕괴 직전에 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인터넷 검열망을 피하는 프로그램은 이메일을 통해 보낼 경우 중국 당국이 차단하지만, 디스켓에 복사하면 간단하게 전파할 수 있어, 대학가와 언론사 등 지식인 사회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이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중국 당국이 차단하고 있는 <미국의 소리>와 <비비시(BBC)> 중국어 방송 등 비판적인 외국 언론은 물론, 천안문사태 이후 미국으로 망명한 이들이 꾸리고 있는 ‘베이징의 봄’ 등 반체제 사이트에도 접속할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3일 이런 프로그램 사용자가 10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인터넷으로 비판 확산 언론정간·기자해직에
파업·항의도 물밀듯 2003년 가을 ‘사스’ 만연 사태를 보도해 중국 당국에 ‘미운털’이 박혔던 <남방도시보>의 편집장 등 언론인들이 해직·구속당했을 때 중국 대륙은 적막강산이었다. 2004년 가을 중국 당국이 베이징대학의 인터넷 자유토론방 ‘이타후투’를 폐쇄했을 때는 교수 한 사람의 공개서한이 항의의 전부였다. 그러나 최근엔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지난해 세밑 중국 당국이 <신경보>의 양빈 편집국장과 두 명의 부국장을 해직하자, 100여명의 <신경보> 기자들은 파업으로 맞섰다. 지난달 24일 당국이 다시 중국공산청년단 기관지 <중국청년보>의 주말부록 <빙점>에 정간 조처를 내렸을 때 양상은 또 달라졌다. 리다퉁 <빙점> 편집장은 곧바로 ‘공개서한’을 인터넷에 띄워 당국을 맹비난한 데 이어, 지난 6일엔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에 중앙선전부를 제소했다. 기자 파업과 중선부 제소는 중국 언론사에서 유례없는 일이었다. 언론탄압 항의 확산=<빙점> 정간 사태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14일 홍콩 <명보>는 지난 2일 마오쩌둥 전 주석의 비서를 지낸 리루이 등 중국공산당 원로 13명이 <빙점> 정간에 항의해 연대 서명한 뒤 발표한 성명의 전문을 공개했다. 리루이 등 원로들은 성명을 통해 △<빙점> 정간 사건에 대한 중선부의 서면보고 △‘검열비평소조’ 해체 △<빙점> 복간과 사후보복 금지 △‘언론보호법’ 제정 및 모든 언론통제·악법 폐지 등 언론자유를 위한 전면적인 조처를 강도 높게 요구했다. 성명에는 당 원로 간부로 존경받는 후지웨이 전 인민일보사 사장도 참여했다. 최근의 사태는 달라진 중국 언론계의 분위기를 대변한다. 지난 8일 해직당한 <공익시보>의 천제런 편집국장도 10일 인터넷에 공개서한을 발표해 당국의 부당한 조처를 비판했다. 중국공산청년단의 고위층에서는 사태 확산을 막으려고 <빙점>의 조기 복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통제망 사실상 붕괴=최근의 사태 변화는 ‘철통’ 같다는 말이 어울리는 중국 당국의 언론통제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비판적 정보가 크게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런 사태의 배경이다. 중국 당국은 ‘건전하지 않은 내용’, ‘사회 안정에 불리한 내용’을 담은 사이트를 제한한다는 이유로 인터넷 언론을 봉쇄해왔다. 이에 청년 지식인들은 당국과 숨바꼭질이라도 하듯 사설 토론방과 블로그 이곳저곳을 오가며 당국의 검열망을 흔들어왔다.
최근 중국 지식인 사회에서 크게 번지는 울트라리치, 프리게이트, 가든네트워크 등 중국 당국의 인터넷 검열망을 피해 외국의 서버에 연결시키는 프로그램의 확산으로 중국의 언론통제는 사실상 붕괴 직전에 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인터넷 검열망을 피하는 프로그램은 이메일을 통해 보낼 경우 중국 당국이 차단하지만, 디스켓에 복사하면 간단하게 전파할 수 있어, 대학가와 언론사 등 지식인 사회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이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중국 당국이 차단하고 있는 <미국의 소리>와 <비비시(BBC)> 중국어 방송 등 비판적인 외국 언론은 물론, 천안문사태 이후 미국으로 망명한 이들이 꾸리고 있는 ‘베이징의 봄’ 등 반체제 사이트에도 접속할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3일 이런 프로그램 사용자가 10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