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혁명 40주년을 맞은 지금 13억의 중국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2일 베이징에 있는 시장의 문화대혁명 기념품 가게에서 한 손님이 마오쩌둥 전 국가주석을 추억하는 포스터를 펼쳐보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
중국,언론보도 · 논의 통제
“철저한 반성” 목소리 커져
“철저한 반성” 목소리 커져
중국 당국이 금기시하는 문화대혁명이 16일 40돌을 맞는다. 중국 안팎에서는 중국 당국이 문혁에 대한 논의를 금기시할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반성하고 청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 본부를 두고 있는 ‘21세기중국기금회’는 뉴욕시립대학과 공동으로 12∼14일 각국에서 온 학자 6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역사의 진상과 집단 기억’이란 주제로 문혁 40돌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를 주도한 쑹융이 21세기중국기금회 집행주임은 개막사를 통해 “문혁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통해 중국의 개혁개방은 진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미국 내 중문판 <다유시보>가 14일 보도했다.
홍콩 <아주주간> 최신호는 중국 당국이 문혁 40돌을 맞아 관련 행사나 전시 등을 모두 봉쇄하고 있으며, 언론매체의 보도와 문혁 관련 회고록 출판 등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는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가 문혁과 관련한 행사나 전시에 대해 ‘사람들을 자극해 사회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일체 금지하고 있다”며, 이는 “10년 전인 1996년의 문혁 30돌 때보다 더 심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중앙선전부와 국가신문출판총서는 이미 여러 차례 각 언론사에 통지문을 내려, “문혁과 관련한 어떤 보도나 글도 싣지 말고, 이 문제를 뜨거운 쟁점으로 만들거나 과장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각 출판사에도 문혁과 관련한 어떤 회고록이나 반성적인 저작도 출판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심지어 당 중앙서기처 서기와 중앙선전부장을 지낸 덩리췬의 회고록 <덩리췬 자술 12춘추>에 대한 출판 비준 신청조차 거부당했다. 당국은 “고위 지도부가 열람할 200부만 인쇄하라”는 명령만 내렸다. 지난달 리샤오빈 중국사진가 협회 회원이 베이징에서 열려던 ‘문혁 사진전’도 개막 이틀 전 공안의 통지로 취소됐다.
문혁에 대한 민간의 연구도 저지돼, “문혁의 발생지는 중국인데, 연구는 서방에서 다 하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쑹융이 주임은 문혁의 자료 소멸을 막기 위해 홍콩 중원대학 중국연구서비스센터와 함께 문혁 때 문건·연설·대자보·보도 등 1차 자료를 집대성한 <중국 문화대혁명 문고>를 시디롬으로 최근 출판했다.
1966년 5월16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이른바 ‘5·16 통지’를 발표하면서 시작된 ‘무산계급 문화대혁명’은 1976년 마오쩌둥 사망 때까지 중국 전역에서 10대 중심의 ‘홍위병’들이 지식인과 문화인, 당 간부, 상급자 등을 무차별 공격하는 등 거대한 사회 혼란을 낳았다. 중국공산당은 1983년 ‘당의 역사문제에 관한 약간의 결의’를 채택해 문혁을 철저히 부정했다. 그러나 문혁에 대한 연구나 비판이 중국공산당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이를 철저히 봉쇄해 왔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