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컴퓨터 업체 레노보로부터 구입한 컴퓨터를 기밀취급 부서에 배치하지 않기로 한 미국 국무부의 결정에 대해 레노보는 미국시장에 미칠 부정적인 여파를 우려하고 있다.
상하이데일리 24일 보도에 따르면 양위앤칭(楊元慶) 레노보 회장은 23일 미국 관리들의 보안에 대한 우려는 근거없는 것이라고 말하고 시장지향의 레노보에 미 정부가 직접 입장을 표명한 것은 공정하지 않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미국 의회의 프랭크 울프 의원은 중국 정부가 컴퓨터에 스파이 기능을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심어놓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레노보에 대해 27%의 지분을 갖고 있다.
미 국무부는 레노보 컴퓨터의 보안문제가 논란이 되자 지난 18일 레노보가 납품한 컴퓨터를 기밀 취급부서에 배치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해외 대사관이나 영사관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에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 해 가을 레노보와 1만6천대의 컴퓨터 구매계약(약 1천300만달러)을 맺었으며 이런 사실이 지난 3월 공개되면서 미국내에서 중국으로의 기밀유출 우려가 제기됐다.
당초 국무부는 이들 컴퓨터 가운데 900대는 미국 및 해외 대사관의 안보망에 사 용할 방침이었다.
지난 해 미 재무부 산하 대외투자위원회(CFIUS)는 레노보의 IBM의 퍼스널 컴퓨터 부문 매입건을 검토한 바 있다. CFIUS는 결국 거래를 승인했지만 일부 의원들은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양 회장은 "우리의 제품은 미국의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면서 "정치적인 요인으로 기업이 영향을 받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이번 미 국무부의 입장 표명이 미국내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것으로 우려했다. 진병태 특파원 jbt@yna.co.kr (상하이=연합뉴스)
양 회장은 "우리의 제품은 미국의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면서 "정치적인 요인으로 기업이 영향을 받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이번 미 국무부의 입장 표명이 미국내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것으로 우려했다. 진병태 특파원 jbt@yna.co.kr (상하이=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