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천안문사태가 4일 17돌을 맞았다. 중국 당국은 1주일 전부터 천안문사태 관련 피해자와 유족, 인권운동 인사들을 집에 연금하거나 격리 조처를 취했으며, 항의시위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주요 도시에 대한 경계를 강화했다고 홍콩 <명보>가 4일 보도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달 29일 1989년 천안문사태 때 희생당한 유가족들의 모임인 ‘천안문의 어머니회’는 미리 ‘우리의 신념과 주장-6·4 17돌을 기리며’란 제목의 공개 성명을 발표해, “평화적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기로에 서있는 중국은 천안문 사태를 포함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공정하게 재평가해야 한다”며 “1989년 6월4일 폭력진압의 진상을 공개하고 피해자와 유가족들에 대해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상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성명은 또 “1989년 6월4일 폭력 진압의 피해자 가운데 사망자 186명과 부상자 70여명의 명단과 신원이 이미 확인됐다”며 “이런 수치는 당시 사태의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성명은 또 천안문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피해자·유가족에 대한 감시 중단과 기본권 회복 △피해자·유가족에 대한 정치적 편견 제거 △부상자에 대한 취업 지원 등 생활 보장 △희생자에 대한 추모 허가 △천안문사태 구속자 석방과 파면당한 공직자 복권 등을 요구했다.
한편 천안문사태 17돌을 맞아 홍콩대학 민의연구센터가 홍콩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천안문사태에 대한 재평가를 지지한다는 응답자는 56%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홍콩 <신보>가 2일 보도했다. 이번 조사에서 “홍콩이 중국의 민주화를 추진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데 동의한 응답자는 7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콩은 중국의 민주 발전보다 경제 발전을 더 중시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 응답자도 4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천안문사태 17돌을 맞아 당시 중국공산당 총서기로서 학생운동에 동정을 표시했다 실각한 자오쯔양 총서기의 추모서적 <자오의 삶: 기념 회고록과 추모시 모음>이 홍콩에서 출간될 예정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4일 전했다.
지난달 28일에는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 천안문사태 17돌 추모 집회가 1100명의 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천안문사태 추모 집회는 폭우로 인해 지난 17년 동안 참가 인원수가 가장 적은 집회로 기록됐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