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샤댐 2배 규모..수에즈운하 이후 아프리카 최대 공사
중국이 세계 최대 규모의 싼샤(三峽)댐을 성공적으로 건설한 경험을 살려 아프리카에 이보다 규모가 두배 큰 `제2의 싼샤댐'을 축조할 계획을 내비치고 있다.
싼샤프로젝트개발회사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수자원을 갖고 있는 콩고강 하류의 `그랜드 잉가(Grand Inga)' 프로젝트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보이고 발주 기업과 적극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3일 보도했다.
그랜드 잉가가 완공되면 모두 4만메가와트(㎿)의 전력를 생산하게 돼 2만㎿ 규모의 싼샤댐을 왜소하게 만들 전망이다. 4만㎿는 전세계 수력발전 총량을 웃도는 엄청난 규모로 아프리카 전체의 전력 필요량을 충당하고도 남는 규모이다.
콩고민주공화국 수도 킨샤사에서 하류로 225㎞ 떨어진 잉가 라프즈에 대규모 수력발전용 댐을 건설한다는 그랜드 잉가 프로젝트는 이 지역 식민 통치국이었던 벨기에가 50년전 구상만 해놓았던 계획.
이 프로젝트는 수에즈운하 건설 이후 아프리카의 가장 중요한 토목공사로 기록될 예정이고 중국의 참여가 확정될 경우 단일 항목으로는 최대 규모의 아프리카 투자가 될 전망이다.
현재 싼샤프로젝트개발회사는 남아공 전력회사 에스콤과 콩고민주공화국, 앙골라, 보츠와나, 나미비아가 동일 지분으로 투자한 웨스트코와 적극적으로 투자 협의를 진행중이다.
이 프로젝트에 따르면 잉가 라피즈에서 생산된 전력은 앙골라, 나미비아로 이어지는 송전망을 거쳐 하나는 케이프 타운으로, 하나는 보츠와나를 통해 요하네스버그까지 공급된다.
싼샤프로젝트개발회사는 싼샤댐 건설 과정에서 확보된 숙련 엔지니어와 기술 경험을 완벽하게 재투입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 차오광징(曹廣晶) 부회장은 "현재 에스콤과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남아공 기업과 시공 기술 문제와 투자예산 문제에 대한 상담을 깊숙이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웨스트코는 우선 2008년 공사를 시작, 3천500㎿ 규모의 전력을 시범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관련 국가 상당수가 내전, 정정불안, 예산부족 등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싼샤댐만큼 제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 미지수로 남아 있다. 중국은 1970년대 중반에도 잠비아의 구리광산과 탄자니아의 인도양 항구도시 다르에스살람을 잇는 1천852㎞의 탄잠 철도를 건설, 아프리카에 대한 영향력 확대의 계기로 삼은 바 있다. 정주호 특파원 jooho@yna.co.kr (홍콩=연합뉴스)
싼샤프로젝트개발회사는 싼샤댐 건설 과정에서 확보된 숙련 엔지니어와 기술 경험을 완벽하게 재투입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 차오광징(曹廣晶) 부회장은 "현재 에스콤과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남아공 기업과 시공 기술 문제와 투자예산 문제에 대한 상담을 깊숙이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웨스트코는 우선 2008년 공사를 시작, 3천500㎿ 규모의 전력을 시범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관련 국가 상당수가 내전, 정정불안, 예산부족 등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싼샤댐만큼 제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 미지수로 남아 있다. 중국은 1970년대 중반에도 잠비아의 구리광산과 탄자니아의 인도양 항구도시 다르에스살람을 잇는 1천852㎞의 탄잠 철도를 건설, 아프리카에 대한 영향력 확대의 계기로 삼은 바 있다. 정주호 특파원 jooho@yna.co.kr (홍콩=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