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급증 속 당간부 주장
중국공산당 이론 간행물에서 “계급투쟁을 최고의 강령으로 삼는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런 관점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중국 내 집단 시위·항의 사태에 대한 중국공산당 지도부의 고민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왕웨이광(왕위광) 중국공산당 중앙당교 부교장은 최근 당교가 펴내는 <학습시보> 제350호에 실은 ‘화해사회의 건설을 위해서는 인민 내부 모순을 반드시 정확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제목의 글에서 “당·정 간부는 최근 빈발하고 있는 ‘군체성 사건(집단 시위·항의 사건)’을 다룰 때 ‘계급투쟁’의 관점을 버리고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조정해 사회 화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왕 부교장은 오늘날 중국 사회의 모순·충돌은 “계급 대립에 따른 계급투쟁이 아니라 ‘인민 내부 모순’으로 인한 충돌”이며 “이 충돌을 계급투쟁이나 적대관계와 같게 여겨 정확하게 처리하지 못하면 경제 충돌이 사상·정치 충돌로, 개별 충돌이 국부·지역·전국적 충돌로 발전해 사회 동란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왕 부교장은 또 “현재 중국 사회에서 ‘인민 내부의 모순’을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군중과 소수의 ‘불순분자’를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수 불순분자를 구분해내지 않고 군중을 무조건 두둔하는 것도 잘못이라는 것이다.
이런 논의는 최근 중국에서 빈부·도농·지역격차가 심해지면서 한 해 8만여건, 하루 200건이 넘는 ‘군체성 사건’이 폭발적으로 터지고 있는 현실에 대한 중국공산당 지도부의 고민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공안당국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군체성 사건’은 모두 8만7000건이 터졌으며, 이는 2004년보다 6.6% 증가한 수치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