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서 6자회담 재개촉구
핀란드를 방문중인 중국의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9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에 1989년 텐안먼(天安門) 사태이후 취해진 대중 무기금수 조치를 해제해 달라고 요구했다.
원 총리는 이날 헬싱키에서 EU 의장국인 핀란드 마티 반하넨 총리 등과 정상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에서 "이는 상호 존중과 평등의 문제"라면서 "유럽 국가들이 이 문제를 다룰 충분한 식견과 통찰력을 지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중 무기수출 재개 조치가 중-EU간 관계개선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EU측은 이에 대해 "EU는 사안의 중대성은 충분히 인식했다. 금수조치해제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겠다"면서 "하지만 국제적인 무기거래에 대한 EU 공동의 행동수칙을 준수하겠다"고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EU는 대학생과 지식인들의 민주화 요구를 탄압한 텐안먼 사태에 대한 대응책으로 1년뒤인 1990년 중국에 대한 무기수출을 금지했다.
원 총리는 논란을 빚은 중국의 인권 문제에 대해 "모든 국가들이 인권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중국 인민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경제와 무역 부분을 인권문제와 연계하는데 결코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양측은 또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6자회담이 조속한 시일내에 재개되기를 희망한다고 합의했다. 중국과 EU 모두는 7월초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이밖에도 원 총리는 이란의 우라늄 농축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경제제재를 비롯한 각종 제재조치를 취하는 대신 외교적 해결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외교 자체가 장기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압박을 가하거나 제재조치를 내리는 것은 이란의 핵야망에 대해 평화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싱키 AP.dpa=연합뉴스) khmoon@yna.co.kr
양측은 또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6자회담이 조속한 시일내에 재개되기를 희망한다고 합의했다. 중국과 EU 모두는 7월초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이밖에도 원 총리는 이란의 우라늄 농축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경제제재를 비롯한 각종 제재조치를 취하는 대신 외교적 해결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외교 자체가 장기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압박을 가하거나 제재조치를 내리는 것은 이란의 핵야망에 대해 평화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싱키 AP.dpa=연합뉴스) khmoon@yna.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