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자본계급 특수이익 집단화..당국 대책마련
중국의 억만장자 부호 가운데 90% 이상이 중국공산당 고위간부 자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홍콩 경제일보가 20일 보도했다.
중국 국무원 연구실과 중앙당교 연구실, 사회과학원 등이 최근 밝힌 사회경제상황 조사보고서에서 지난 3월말 현재 중국내에서 1억위안(약 121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3천220명 가운데 2천932명이 당 고위간부 자녀로 나타났다.
이들 `고간(高幹)' 자녀가 보유한 자산은 모두 2조4천50억위안(248조원). 이는 해외 자산을 제외한 액수다.
특히 금융, 무역, 국토개발, 대형 프로젝트, 증권 등 5대 영역의 주요 직책 85∼90%를 이들 고위간부 자녀가 독점, 이들을 중심으로 중국내부에서 `관료자본계급'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가 발전한 상하이, 광둥(廣東)성, 장쑤(江蘇)성 3곳은 당 고위간부 자제의 활약상이 두드러졌다.
광둥성내 대표적인 부동산 개발업자 12명은 하나같이 고위간부 자제였고 이중에는 부친이 성장을 지낸 사람도 포함돼 있었다.
상하이의 부동산기업 10곳 가운데 9곳이 고위간부 자녀가 사장을 지내고 있었고 15개 하도급 건축업체중 국유기업에 속한 2곳을 제외한 13곳을 고위간부 자제가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쑤성도 부동산 개발상 22명과 하도급 건축업자 15명 모두 현직 부성장이나 성 인민대표 부주임, 전직 성 부서기, 전직 법원장을 포함한 고위간부의 자녀들로 채워져 있었다.
중국 당국은 이들 특수 이익집단이 출현하면서 돈과 권력의 밀거래를 통한 조직적인 부정부패가 횡행, 조화사회 및 공평정의를 실현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최근 열린 제16기 중앙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6중전회)를 통해 이들 특수 이익집단을 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주호 특파원 jooho@yna.co.kr (홍콩=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