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파키스탄 국경의 와가 공동검문소에서 인도 병사(왼쪽)와 파스키탄 병사가 23일 국기 하강식 행진을 하고 있다. 두 나라는 최근 국경에서 공격적인 행진훈련의 수위를 낮추기로 합의했다. 와가/AP 연합
미 독식 막으려 인도와 손잡고
파키스탄과 핵기술력 굳히고
파키스탄과 핵기술력 굳히고
중국·인도·파키스탄 ‘남아시아 삼각관계’가 최근 핵 협력을 둘러싼 견제와 균형 잡기로 다시 뜨겁다.
중국은 1000억달러(약 93조원)에 이르는 초대형 규모의 인도 민간 핵발전소 건설 수주경쟁에 한 발을 들여놓는 한편, 파키스탄과도 민간 핵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홍콩 <아주시보>가 24일 보도했다. 중국이 다시 한 번 두 나라 사이에서 줄타기를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20~23일 인도 방문 직후 파키스탄으로 날아간 후진타오 중국 국가 주석은 21일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공동성명’에서 처음으로 두 나라의 ‘핵에너지 협력 문제’를 거론했다. 공동성명은 “국제사회는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 에너지 창조를 위한 두 나라의 필요를 고려해야 한다”고 요구한 뒤, “장기적 안목에서 국제 민간 핵에너지 협력을 추진함과 동시에 핵 확산 방지 노력을 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파키스탄은 중·인 두 나라가 핵 협력을 거론했다는 사실 자체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은 이미 인도와 지난 3월 민간 핵 협력 협정에 서명한 상태여서 중국이 끼어드는 것을 내심 못마땅해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인도와 핵무기 경쟁을 벌이는 앙숙인 만큼 중국과 인도의 핵 협력은 부담스럽다.
중국의 속셈은 인도와 핵 협력을 추진해 미국의 인도 ‘독식’을 견제하는 한편, 파키스탄과의 교섭에서도 유리한 지위를 확보하는 데 있다. 중국과 파키스탄은 23일 자유무역협정(FTA)에 서명하고 경제적 유대를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 3월 미국이 인도에 대한 민간 핵기술 동결을 풀기로 하자, 인도와 동등한 대우를 요구해온 파키스탄은 후 주석 방문 기간 300㎿급 원자로 6~8기의 공급 등 중-파 핵기술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는 중국이 파키스탄과 핵기술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안보상의 이유로 극력 꺼리고 있어 중국의 줄타기가 얼마나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이상수 기자 lees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